이 대통령은 또 “더 이상의 인내와 관용은 더 큰 도발만 키운다는 것을 우리 국민은 분명히 알게 됐다”면서 “협박에 못이긴 ‘굴욕적 평화’는 결국 더 큰 화를 불러온다는 것이 역사의 교훈”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그동안 북한 정권을 옹호해온 사람들도 이제 북의 진면모를 깨닫게 됐을 것”이라며 “저는 우리 국민과 함께 결단코 물러서지 않을 것이며 앞으로 정부가 해야 할 일은 확실히 하겠다”고 거듭 강력한 대응의지를 피력했다.
이 대통령은 중국이 전날 제안한 북핵 6자회담 재개를 위한 협의 제안을 겨냥한 듯 “이제 북한 스스로 군사적 모험주의와 핵을 포기하는 것을 기대하기 힘들다는 것을 알게 됐다”고 역설한 뒤 “어떠한 위협과 도발에도 물러서지 않고 맞서는 용기만이 ‘진정한 평화’를 가져올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우리 국민의 용기와 저력을 믿는다”며 “천안함 폭침을 놓고 국론이 분열됐던 것과는 달리, 이번처럼 국민의 단합된 모습 앞에서는 북한의 어떠한 분열책동도 발붙이지 못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특히 “무고한 국민이 목숨을 잃고 삶의 터전이 파괴된 것에 대해 참으로 안타깝고 송구스런 마음을 금할 수 없다”면서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지 못한 책임을 통감한다”고 강한 유감을 표명했다.
이 대통령은 무엇보다 “우리 군을 군대다운 군대로 만들겠다. 서해 5도는 어떠한 도발에도 철통 같이 지킬 것”이라며 “우리 군을 더 강하게 만들기 위한 국방개혁은 계획대로 더욱 강력히 추진하겠다”고 역설했다.
이와함께 이 대통령은 “지금은 백마디 말보다 행동으로 보일 때”라면서 “정부와 군을 믿고 힘을 모아달라. 하나된 국민이 최강의 안보”라고 강조하고 “연평도 주민들을 위한 종합대책 수립을 약속드린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