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과 민주당 손학규 대표간 ‘영수회담’ 개최를 위한 양측의 물밑접촉 채널이 가동되고 있는 가운데 내주 중 성사 가능성이 흘러나오고 있다.
‘선(先) 국회 등원,후(後) 영수회담’을 주장하는 청와대와 ‘선 영수회담,후 국회 등원’ 입장을 고수해온 민주당의 막판 기싸움으로 아직 가시적 성과는 없지만 영수회담을 무작정 미룰 수만은 없다는데 양측 모두 공감하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민주당이 ‘대통령의 유감표명’ 요구를 거둬들이면서 분위기도 조금씩 긍정적인 쪽으로 바뀌어가고 있다.
일단 청와대는 여야 원내대표가 당초 합의한 ‘14일 국회 등원’ 약속 이행이 담보돼야 한다면서 국회가 정상화되면 영수회담은 곧바로 열릴 수 있다는 입장이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11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청와대 회동과 국회 정상화 중 더 화급한 사안인 국회 정상화부터 푸는 게 순리로,민주당이 영수회담을 국회 등원의 조건으로 내걸면 안된다”고 밝혔다.
다른 청와대 인사는 “성과를 내려면 충분한 사전 조율이 있어야 하는 만큼 민주당이 14일 국회에 등원하더라도 곧바로 회동을 하기에는 시간상 촉박할 수 있다”며 14일 국회가 정상화되면 15,16일께 영수회담이 열릴 수 있음을 내비쳤다.
반면 민주당은 “영수회담과 등원은 별개”라면서도 영수회담 후 등원하는 게 순리라는 논리로 맞서고 있다.
박지원 원내대표는 최고위원회의에서 “우리는 영수회담을 기다리고 있다”며 “대통령이 신년 좌담회를 통해 말씀하셨고 민주당도 아무런 조건이 없다는 것을 밝힌 만큼 작년 12월8일 (예산안 강행처리) 이후 민주당이 처한 현실을 감안해서라도 대통령이 야당에게 명분을 주고 국민에게 희망을 주는 영수회담이 이뤄져야 한다”고 ‘선 영수회담 개최’를 거듭 요구했다.
그는 “물 흘러가듯 두 분이 만나 꼬인 정국을 풀어달라는 게 국민 요구”라고 덧붙였다.
그러나 청와대로선 대통령이 공개 언급한 영수회담이 지지부진하게 미뤄질 경우 부담스러운 측면이 있고,민생문제 해결을 외쳐온 민주당도 국회 등원을 마냥 외면할 수만은 없는 처지여서 조만간 양측이 접점을 찾아 내주중에는 영수회담이 열리지 않겠느냐는 전망이 제기되고 있다.
이와 관련,일각에선 양측이 한발씩 물러서 14일 오전 영수회담을 열고 이날 오후 국회를 여는 식의 ‘원샷’ 해법이 도출되지 않겠느냐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그러나 민주당 일부에서 “영수회담에 목매선 안된다”,“영수회담이 곧바로 등원으로 연결되는 것은 아니다”는 강경론이 있고,청와대 내에서도 “전제조건을 붙이는 의전상 무리를 해가며 영수회담을 열 필요가 있느냐”는 목소리도 있어 내주중 영수회담을 낙관할 수 없다는 시각도 있다.
연합뉴스
‘선(先) 국회 등원,후(後) 영수회담’을 주장하는 청와대와 ‘선 영수회담,후 국회 등원’ 입장을 고수해온 민주당의 막판 기싸움으로 아직 가시적 성과는 없지만 영수회담을 무작정 미룰 수만은 없다는데 양측 모두 공감하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민주당이 ‘대통령의 유감표명’ 요구를 거둬들이면서 분위기도 조금씩 긍정적인 쪽으로 바뀌어가고 있다.
일단 청와대는 여야 원내대표가 당초 합의한 ‘14일 국회 등원’ 약속 이행이 담보돼야 한다면서 국회가 정상화되면 영수회담은 곧바로 열릴 수 있다는 입장이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11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청와대 회동과 국회 정상화 중 더 화급한 사안인 국회 정상화부터 푸는 게 순리로,민주당이 영수회담을 국회 등원의 조건으로 내걸면 안된다”고 밝혔다.
다른 청와대 인사는 “성과를 내려면 충분한 사전 조율이 있어야 하는 만큼 민주당이 14일 국회에 등원하더라도 곧바로 회동을 하기에는 시간상 촉박할 수 있다”며 14일 국회가 정상화되면 15,16일께 영수회담이 열릴 수 있음을 내비쳤다.
반면 민주당은 “영수회담과 등원은 별개”라면서도 영수회담 후 등원하는 게 순리라는 논리로 맞서고 있다.
박지원 원내대표는 최고위원회의에서 “우리는 영수회담을 기다리고 있다”며 “대통령이 신년 좌담회를 통해 말씀하셨고 민주당도 아무런 조건이 없다는 것을 밝힌 만큼 작년 12월8일 (예산안 강행처리) 이후 민주당이 처한 현실을 감안해서라도 대통령이 야당에게 명분을 주고 국민에게 희망을 주는 영수회담이 이뤄져야 한다”고 ‘선 영수회담 개최’를 거듭 요구했다.
그는 “물 흘러가듯 두 분이 만나 꼬인 정국을 풀어달라는 게 국민 요구”라고 덧붙였다.
그러나 청와대로선 대통령이 공개 언급한 영수회담이 지지부진하게 미뤄질 경우 부담스러운 측면이 있고,민생문제 해결을 외쳐온 민주당도 국회 등원을 마냥 외면할 수만은 없는 처지여서 조만간 양측이 접점을 찾아 내주중에는 영수회담이 열리지 않겠느냐는 전망이 제기되고 있다.
이와 관련,일각에선 양측이 한발씩 물러서 14일 오전 영수회담을 열고 이날 오후 국회를 여는 식의 ‘원샷’ 해법이 도출되지 않겠느냐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그러나 민주당 일부에서 “영수회담에 목매선 안된다”,“영수회담이 곧바로 등원으로 연결되는 것은 아니다”는 강경론이 있고,청와대 내에서도 “전제조건을 붙이는 의전상 무리를 해가며 영수회담을 열 필요가 있느냐”는 목소리도 있어 내주중 영수회담을 낙관할 수 없다는 시각도 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