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저축은행 진상조사위원회 위원장인 박지원 전 원내대표는 6일 부산저축은행의 퇴출 저지 로비 의혹 과정에 한나라당의 부산 출신 의원이 개입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박 전 원내대표는 국회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부산저축은행이 퇴출 저지 로비를 위해 대책회의를 열어 청와대에 탄원서 두 통을 작성해 제출하기로 결정했었다.”면서 “이 과정에서 역할을 한 분이 한나라당의 부산 출신 의원”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탄원서 한 통이 (해당 부산 의원 측 인사를 통해) 청와대의 한 분에게 전달된 것은 어느 정도 확인됐으며, 나머지 한 통이 어떻게 됐는지는 계속 파악·추적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해당 부산 의원이 누구인지, 대책회의 소집 시점이 언제인지 등은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았다.
박 전 원내대표는 또 “모모 인사들이 구속기소된 신삼길 삼화저축은행 명예회장을 면담했다는 제보가 있어 서울구치소에 면담 기록을 요청했다.”면서 “신 명예회장은 이미 두 번 감옥에 갔다왔고 140억~150억원의 돈을 미납한 채 삼화저축은행을 인수했는데, 어떻게 이러한 로비가 이뤄졌는지, 정진석 청와대 정무수석과 곽승준 미래기획위원장,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 동생인)박지만씨와 그 부인 서향희씨의 행동들이 밝혀져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편 민주당 우제창 의원이 강원저축은행을 위해 금융감독원에 압력을 행사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우 의원은 지난 3월 금감원 측에 전화를 걸어 강원저축은행에 대한 적발 내용을 보고하도록 했으며, 금감원 관계자들이 우 의원을 만나 조사 내용을 설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금감원은 강원저축은행 비리에 대해 검찰 수사를 의뢰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금감원이 비리 혐의에 대한 검사 도중 의원에게 보고를 한 것은 이례적인 일로, 우 의원이 강원저축은행에 대한 징계수위를 낮추기 위해 영향력을 행사했다는 지적이 제기된 것이다.
이에 대해 우 의원은 “금감원 측을 불러 보고를 받은 적이 없다.”며 “저축은행 측에서 금감원 검사가 강압적으로 이뤄진다는 불만이 제기돼 저축은행 측의 소명 기회를 달라고 전달했을 뿐”이라고 해명했다.
강주리·안석기자 jurik@seoul.co.kr
박 전 원내대표는 국회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부산저축은행이 퇴출 저지 로비를 위해 대책회의를 열어 청와대에 탄원서 두 통을 작성해 제출하기로 결정했었다.”면서 “이 과정에서 역할을 한 분이 한나라당의 부산 출신 의원”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탄원서 한 통이 (해당 부산 의원 측 인사를 통해) 청와대의 한 분에게 전달된 것은 어느 정도 확인됐으며, 나머지 한 통이 어떻게 됐는지는 계속 파악·추적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해당 부산 의원이 누구인지, 대책회의 소집 시점이 언제인지 등은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았다.
박 전 원내대표는 또 “모모 인사들이 구속기소된 신삼길 삼화저축은행 명예회장을 면담했다는 제보가 있어 서울구치소에 면담 기록을 요청했다.”면서 “신 명예회장은 이미 두 번 감옥에 갔다왔고 140억~150억원의 돈을 미납한 채 삼화저축은행을 인수했는데, 어떻게 이러한 로비가 이뤄졌는지, 정진석 청와대 정무수석과 곽승준 미래기획위원장,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 동생인)박지만씨와 그 부인 서향희씨의 행동들이 밝혀져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편 민주당 우제창 의원이 강원저축은행을 위해 금융감독원에 압력을 행사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우 의원은 지난 3월 금감원 측에 전화를 걸어 강원저축은행에 대한 적발 내용을 보고하도록 했으며, 금감원 관계자들이 우 의원을 만나 조사 내용을 설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금감원은 강원저축은행 비리에 대해 검찰 수사를 의뢰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금감원이 비리 혐의에 대한 검사 도중 의원에게 보고를 한 것은 이례적인 일로, 우 의원이 강원저축은행에 대한 징계수위를 낮추기 위해 영향력을 행사했다는 지적이 제기된 것이다.
이에 대해 우 의원은 “금감원 측을 불러 보고를 받은 적이 없다.”며 “저축은행 측에서 금감원 검사가 강압적으로 이뤄진다는 불만이 제기돼 저축은행 측의 소명 기회를 달라고 전달했을 뿐”이라고 해명했다.
강주리·안석기자 jurik@seoul.co.kr
2011-06-07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