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동작동 국립현충원에서 열린 육영수 여사 37주기 추도식에 참석한 박근혜(오른 쪽) 한나라당 전 대표와 동생 박지만씨가 묵념을 하고 있다. 이호정기자 hojeong@seoul.co.kr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15일 동작동 국립현충원에서 열린 육영수 여사 37주기 추도식에 참석한 박근혜(오른 쪽) 한나라당 전 대표와 동생 박지만씨가 묵념을 하고 있다. 이호정기자 hojeong@seoul.co.kr
박근혜 한나라당 전 대표가 15일 고 육영수 여사 37주기 추도식에서 ‘자립복지론’을 꺼내들었다. 어머니 육영수 여사의 일화를 비유로 들며 “스스로 일어서려는 의지를 갖게 도와주는 게 복지의 핵심 가치”라고 역설했다.
박 전 대표는 서울 국립현충원에서 열린 추도식에 참석, 유족인사를 통해 “생전 어머니가 자포자기할 만큼 사정이 어려운 마을을 직접 찾아가신 적이 있다.”며 육 여사와 얽힌 일화를 소개했다. 박 전 대표는 “주민들이 한번 열심히 해보겠다며 사육할 돼지 몇 마리를 요청했더니 어머니가 ‘지금은 사료값이 비싸니 대신 토끼를 키워보시라.’며 ‘길가 풀을 뜯어 먹여도 되니 쉽게 키울 수 있고 번식력이 강해 좋은 결과가 있을 것’이라고 하시며 그 마을이 일어설 수 있도록 세심하게 챙긴 기억이 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박 전 대표는 “어머니가 힘든 분들을 도와줄 때 자립과 자활을 중요하게 생각했다. 단순히 물질적인 도움을 주는 게 아니라 스스로 일어서려는 의지를 갖게 도와주는 것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했다.”고 덧붙였다. 이어 “국가가 개개인의 상황에 맞춰 세심하게 지원하는 게 이 시대 우리가 해야 할 복지”라고 강조했다.
이날 발언은 박 전 대표가 지난 2월 대표발의한 사회보장기본법 전부개정안에 이어 ‘박근혜식 복지’ 2탄으로 해석된다. 사회보장기본법 개정안이 국가의 생애주기별 복지 서비스 제공, 복지 사각지대 해소에 초점을 맞췄다면 자립복지는 한발 더 나아가 자활을 강조하며 최근의 복지 포퓰리즘 논쟁과 차별화를 꾀한 것으로 보인다.
박 전 대표의 대변인격인 이정현 한나라당 의원은 “국가의 무조건적인 복지보다 본인 능력으로 하는 자립이 중요하다는 게 무상급식 등 현 복지 논쟁 국면에서 정리한 박 대표 복지론의 큰 틀인 것 같다.”고 전했다.
다른 측근도 “민주당식 퍼주기 복지, 무상복지가 옳지 않다는 점을 못 박은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 추도식에는 박 전 대표 동생 지만씨를 비롯해 유승민 최고위원, 이정현·이혜훈·구상찬·이해봉 의원 등 친박(친박근혜)계 의원 20여명과 전국에서 몰려든 추모객 2000여명이 참석했다.
이재연기자 oscal@seoul.co.kr
2011-08-16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