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야권 서울시장 시민후보인 박원순(얼굴) 전 희망제작소 상임이사는 최근 ‘희망 서울’ ‘혁신 서울’ ‘안심 서울’을 주제로 한 정책들을 발표했다. 그러나 정책의 방향만 나왔을 뿐 세부적인 실천 계획 등은 제시하지 못한 상태다.
이에 대해 일각에서는 체계적인 조직을 갖춘 정책위원회 등이 뒷받침하는 정당 후보들과 달리 시민후보는 시간·비용적인 측면에서 정책이 빈약할 수밖에 없는 한계를 지닌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시간·비용 정당 후보에 밀려
박 전 이사 캠프 측은 2일 서울신문과의 전화통화에서 “정책자료집 등 세부적인 내용들은 야권통합 후보가 되면 제시하겠다.”면서 “신중하게 만들고 있다.”고 밝혔다. 구체적인 내용들은 이르면 후보 등록이 시작되는 6일쯤 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뚜렷한 정책 메시지 없다” 비판
앞서 박 전 상임이사는 지난달 30일 보도자료를 통해 “새로운 변화, 진정한 변화를 위한 박원순의 희망 약속”이라는 정책 공약을 공개했다. 박 전 상임이사는 “집으로 인해 겪는 고통을 끝내고 서울 시정을 혁신하며 모두가 안심하고 사는 서울을 만들겠다.”면서 “모든 역량을 쏟아부어 이런 좌절을 끝내고 싶다.”고 밝혔다.
박 전 상임이사의 ‘희망캠프’ 정책자문위원은 집 걱정 없는 서울·착한 일자리 만들기·대학생 응원·영세상인 및 자영업자 생생(生生) 프로젝트 등을 ‘희망 서울’ 정책이라고 이름 붙여 구성, 공개했다. 또 ‘혁신 서울’에는 한강르네상스사업 전면 재검토, SH공사 사업구조 혁신, 독립된 검증 기관인 ‘서울시 공공투자관리센터’ 설립, 투명한 정보 공개, 서울시 정보소통센터 설립 등을 담았다. ‘안심 서울’의 주요 정책으로는 아이들이 마음껏 다닐 수 있는 공간을 의미하는 ‘아마존 프로젝트’, 서울 응급콜과 클리닉 네트워크 구축, 재해에 강한 서울, ‘미안(미리 안전)합니다’ 등이 있다. 그러나 다소 추상적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익명을 요구한 한 교수는 “‘어떻게 할 수 있느냐’라는 물음에 대한 답이 없다.”면서 “현실성 있는 뚜렷한 정책 메시지를 신속히 만들어 시민들에게 알리고 후보 간 정책 평가를 받아야 하는데 내용이 보이지 않아 다른 정당 후보들보다 실속이 없거나 유약한 느낌을 준다.”고 지적했다.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