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31일 정치자금법 위반 사건에 대한 1심 법원의 무죄 판결을 받은 한명숙 전 국무총리가 범야권 통합 그라운드에 발을 디디는 것으로 정치 행보를 시작했다.
이미지 확대
“무사히 돌아왔습니다” 불법 정치자금 관련 무죄 선고를 받은 한명숙 전 총리가 1일 국회에서 열린 민주당 의원총회에 참석해 손학규 대표가 지켜보는 가운데 의원들과 인사를 나누고 있다. 이호정기자 hojeong@seoul.co.kr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무사히 돌아왔습니다”
불법 정치자금 관련 무죄 선고를 받은 한명숙 전 총리가 1일 국회에서 열린 민주당 의원총회에 참석해 손학규 대표가 지켜보는 가운데 의원들과 인사를 나누고 있다. 이호정기자 hojeong@seoul.co.kr
한 전 총리는 1일 민주당 의원총회장을 찾고 이희호 여사와 함께 현충원을 방문했다. 오전에는 문재인 노무현재단 이사장과 따로 만났다. 감사 인사 차원이라고는 하지만 한 전 총리의 무게로 볼 때 이날 동선은 그리 단순하게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한 전 총리는 일단 야권 통합에 매진할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 의총장을 방문한 뒤 “민주당 안팎에서 통합을 위한 행보를 꾸준히 했고 앞으로 적극적으로 해볼 생각”이라고 했다.
이전과 달리 정치 일정이 촉박하기 때문에 구체적인 역할을 고민하지 않을 수 없다. 한 전 총리는 범야권 다른 주자들에 비해 시민사회와 재야, 혁신과 통합, 민주당, 진보정당을 아우르는 등 스펙트럼이 넓은 편이다. ‘정치적 탄압’을 상징하는 ‘진영 대표주자’로 평가받는 측면도 있다.
일단 민주당 안팎에서는 유력한 당권 주자로 거론되지만 의견이 엇갈린다. 한 측근은 “민주당 중심의 통합을 이뤄내기 위해서라도 한 전 총리가 출마해야 하지 않겠나.”라고 되물었다. 그러나 또 다른 측근은 “한 전 총리를 당권 프레임에 가둬두면 친노(친노무현)의 위상을 높일 수 있겠지만 계파 수장으로 한정될 수 있다.”며 대선 출마의 여지를 남겨놓았다.
한 전 총리는 일단 야권 통합의 흐름을 지켜보면서 기회를 노릴 것으로 관측된다. 민주당 전당대회든 통합 전당대회든 ‘쓰임새’가 선명해 어느 쪽이든 출마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현재로선 통합 전당대회에서 역할을 모색한 뒤 보폭을 넓혀 나가지 않겠느냐는 것이 범야권의 중론인 듯하다.
구혜영기자 koohy@seoul.co.kr
2011-11-02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