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최고위원 “쇄신초안 미흡..처절한 자기반성 있어야”
한나라당 홍준표 대표는 7일 서울시장 보궐선거 패배 이후 마련해온 쇄신안의 발표를 사실상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비준안 처리 이후로 미뤘다.홍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주말에 집중 논의된 당내 쇄신 논의는 이제 출발 단계”라며 “앞으로 쇄신 연찬회, 끝장 토론을 통해 모든 의견을 수렴한 후 최고위에서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당초 홍 대표는 중앙당사 폐지 및 당 조직 혁신, 비례대표 의원 50% 국민참여경선 선발, 공개오디션을 통한 정치신인 영입, 당ㆍ민(黨ㆍ民) 정책협의회 등을 내용으로 한 ‘1차 쇄신안’을 이날 최고위에 제시하고, 당 지도부의 의견을 수렴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쇄신안을 놓고 당 지도부는 물론 계파ㆍ세력 간 갈등이 확산될 조짐을 보이고 있는 데다, 한미 FTA 비준안 처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판단에 따라 쇄신안 제시 시점을 연기한 것으로 보인다.
한 핵심당직자는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쇄신 논의가 자칫 한미 FTA 처리 동력 저하로 이어질 수 있음을 감안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나라당은 한미 FTA 비준안 처리를 전후해 전체 의원이 참여하는 ‘쇄신 연찬회’를 갖고 끝장토론을 벌일 계획이다.
최고위원회의에서 유승민 최고위원은 “일부 언론에 보도된 쇄신안은 어림도 없다”며 “공천ㆍ정책ㆍ당청관계ㆍ인재영입 등 다양한 문제에 있어 본질을 말할 수 있는 쇄신방안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원희룡 최고위원은 “당 대표, 당 지도부부터 모든 기득권과 부당한 관여를 하지 않겠다는 약속ㆍ실천이 없는 한나라당표 도돌이표식 쇄신 아이디어는 이벤트에 불과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남경필 최고위원은 “지도부의 처절한 자기반성과 과거 잘못에 대한 제대로 된 분석과 함께 해법이 있어야 한다”고 촉구했다.
홍 대표를 비롯한 지도부는 최고위원회의 직후 비공개 간담회를 가졌으며, 홍 대표는 이 자리에서 “당사 폐지와 관련한 언론보도는 오래전부터 있어온 얘기고, 나머지 쇄신안도 의원들이 백가쟁명식으로 말한 게 보도된 것”이라고 설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복수의 최고위원은 “비공개 간담회에서도 쇄신안에 대한 구체적 얘기는 없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