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류재림기자 jawoolim@seoul.co.kr
박세일 한반도선진화재단 이사장이 8일 서울 반포동 공동체자유주의 사무실에서 서울신문과 가진 인터뷰에서 자신이 몸담았던 한나라당을 향해 쓴소리를 쏟아내며 보수 신 당 창당 등에 대한 정치적 소신을 밝히고 있다.
류재림기자 jawoolim@seoul.co.kr
류재림기자 jawoolim@seoul.co.kr
친이계는 이미 지난 5월 원내대표 경선과 7월 전당대회에서 잇따라 고배를 마시며 구주류, 비주류로 전락했다. 당내 권력 구도 역시 박근혜 전 대표를 중심으로 재편됐다. 내년 총선과 대선을 앞두고 설 자리가 그만큼 줄어들었다는 얘기다. 따라서 정몽준 전 대표와 김문수 경기도지사, 이재오 의원 등 친이계 핵심 인사들이 보수 신당 대열에 합류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기성 정당에 대한 국민 불신을 ‘보수 대연합’이라는 명분으로 희석시킬 수도 있다. 다만 친이계가 보수 신당의 주축 세력으로 부각될 경우 파괴력은 떨어질 수밖에 없다.
이석연 전 법제처장 등 보수 진영 시민사회단체 인사들은 물론 신당의 간판으로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에 대한 영입론까지 거론되는 이유다. 박세일 이사장이 최근 서울신문을 비롯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양극단의 각각 15%를 제외한 중도 70%의 지지를 받는 신당을 만들겠다.”고 밝힌 것도 안 원장 등 중도 인사들을 포섭하기 위한 사전 정지 작업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한 친이계 의원은 “정운찬 전 국무총리나 이 전 처장 등 중량감 있는 인사들이 결집할 경우 총선·대선 구도에서 일정 부분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보수 신당의 1차 목표는 내년 4월 총선이지만 궁극적으로는 12월 대선을 겨냥하고 있다. 신당이 총선에서 존재감을 과시할 경우 보수 진영의 이합집산은 더욱 복잡한 양상으로 전개될 수 있다.
우선 신당이 안 원장 영입에 성공할 경우 곧장 대선까지 내달을 가능성이 높다. 지금으로선 안 원장이 이들과 공동 보조를 취할 가능성은 크지 않지만, 정치판 전체가 요동을 치는 상황에선 연대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도 없다는 관측이 나온다. 반대로 안 원장 영입에 실패할 경우 친이계뿐만 아니라 한나라당 내 ‘반(反)박근혜’ 진영 인사들까지 흡수해 대선에서 독자 후보를 낼 수도 있다. 이 과정에서 박근혜 전 대표와의 보수 후보 단일화는 필수가 아닌 선택 사항이 될 수 있다.
한나라당 내 보수 신당 참여 움직임은 이번 정기국회 최대 쟁점인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비준안과 내년도 예산안 처리가 끝나는 대로 가시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일부 친박계 인사들은 보수 신당이 반박(반박근혜) 진영 또는 청와대의 ‘기획 작품’이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하기도 한다. 신당 창당 시나리오 대부분이 ‘박근혜 대세론’에 대한 견제와 맞물려 있기 때문이다.
실제 반박 인사들이 한반도선진화재단의 전국 조직을 구축하는 데 기여했다는 얘기도 떠돈다. 이와 관련, 혁신파의 정두언 의원은 최근 “신당의 정책과 인물이 새로운 정당으로 탄생하기에는 역부족”이라면서 “어떻게 보면 ‘박근혜 흔들기’로 보인다.”고 말했다.
장세훈기자 shjang@seoul.co.kr
2011-11-14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