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회 부패” 65.4%, “정치인이 유발” 56.6%

“한국사회 부패” 65.4%, “정치인이 유발” 56.6%

입력 2011-12-10 00:00
수정 2011-12-10 00:1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국민 65.4%가 우리 사회가 부패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부패를 유발하는 주체로는 정치인들이 첫손에 꼽혔다.

9일 국민권익위원회가 발표한 ‘2011년도 부패인식·경험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일반국민의 65.4%가 한국 사회가 전반적으로 부패했다고 답해 지난해(51.6%)보다 사회부패에 대한 인식이 더 나빠졌다. 이번 조사는 지난 10~11월 일반 국민과 공무원 각 1400명을 비롯해 기업인, 전문가, 외국인 등 모두 4530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잇따른 권력형 비리 등 영향 미친듯

정부의 부패방지 노력에 대해서도 국민의 53.8%는 부정적으로 봤다. 권익위는 “이는 지난해(42.7%)보다 더 높아진 수치로, 최근 잇따른 권력형 비리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공직사회 부패에 대한 인식도 더 나빠졌다. 지난해(54.1%)보다 높은, 국민의 56.7%가 공직사회가 부패했다고 답했다. 부패유발 주체로는 정치인(56.6%)과 고위공직자(23.3%)를 가장 많이 지목했고, 부패 유형으로는 직위를 이용한 알선·청탁(31.4%)을 가장 많이 꼽았다.

부패 수준이 개선될 것이라는 기대치도 더 낮아졌다. 앞으로 부패가 증가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지난해 17%에서 올해는 27.3%로 늘었다.

●젊은 세대일수록 부패전망 더 비관적

젊은 세대일수록 부패 전망은 더 비관적이었다. 부패가 줄어들 것이라는 긍정적인 견해를 보인 응답자는 50세 이상이 30.9%인 데 비해 49세 이하는 19.9%로 격차가 컸다.

부패 경험을 묻는 질문에는 연령별로는 40대(6.4%)에서, 직업별로는 고용주(10.5%)·자영업자(8.3%)에서, 소득별로는 월 500만원 이상 소득계층(7.2%)에서 각각 높게 나타났다.

황수정기자 sjh@seoul.co.kr

2011-12-10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