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대통령, 현병철 인권위원장 임명 배경

李대통령, 현병철 인권위원장 임명 배경

입력 2012-08-13 00:00
수정 2012-08-13 14:4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반대여론에도 국정장악력 고려한 듯..‘대안부재’ 현실론도

이명박 대통령이 13일 국가인권위원장에 현병철 내정자를 임명했다. 지난달 18일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청문보고서 채택이 최종 불발된 지 25일 만이다.

인권위원장은 국회의 임명 동의가 필요치 않아 보고서 채택이 무산되고 나서 언제든지 임명할 수 있었으나 지금껏 미뤄온 것이다.

야당뿐만 아니라 여당인 새누리당 일각에서도 현 내정자에 대한 임명을 철회하라고 요청할 만큼 부정적 의견이 확산하자 이를 의식한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인사청문회 과정에서 부동산 투기, 아들 병역, 논문 표절 등의 의혹에도 현 내정자를 그대로 연임하게 하면서 정치권을 중심으로 논란이 일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이 대통령이 이처럼 정치권 안팎의 반대에도 현 내정자를 그대로 임명한 데에는 크게 3가지 고려사항이 있던 것으로 보인다.

우선 청문회에서 도덕성과 자질 시비가 일기는 했지만 지금껏 청문 대상자에 통상 제기됐던 의혹 수준을 넘지는 않았다는 것이다. 업무를 수행하는 데 결정적 하자는 아니라고 판단한 셈이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현 내정자가 각종 의혹에 대해 소상하게 해명을 했다”면서 “일부 의혹은 사실이 아닌 일방적 주장이고 정치적 공세로, 흠집내기용도 있다”고 말했다.

또 임기 6개월여를 앞두고 국정 장악력을 고려했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대통령의 고유 권한인 인사권마저 제대로 행사하지 못하고 여기서 밀릴 경우 권력누수(레임덕) 현상을 더욱 앞당길 것이라는 우려에서다.

현 정부 들어 추진했던 핵심 국정과제를 온전히 마무리하는 동시에 우리나라에까지 짙게 드리우는 경제위기를 막아내기 위해서 국정운영의 끈을 한시라도 놓을 수 없다는 절박감도 묻어나고 있다.

끝으로 현 내정자 임명에는 ‘대안 부재’라는 현실적 문제도 가로 놓여 있다.

새로운 인물을 다시 세운다고 해도 전례를 볼 때 국회 청문회를 무난하게 통과하리라는 보장이 없는데다, 임기 말에 적합한 후보자를 찾기도 만만치 않은 상황이기 때문이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