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전 3자회동’ 치열한 수싸움

‘추석 전 3자회동’ 치열한 수싸움

입력 2012-09-26 00:00
수정 2012-09-26 00:4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安 “무조건 GO” 朴 “가기도 안 가기도” 文 “흔쾌히…”

새누리당 박근혜, 민주통합당 문재인, 무소속 안철수 대선 후보가 ‘추석 전 3자 회동’을 놓고 치열한 수 싸움을 벌이고 있다. 고민의 깊이와 성사 가능성이 비례할 것으로 보인다.

3자 회동을 제안한 안 후보 측은 성사 여부와 관계없이 ‘밑질 게 없는 장사’라는 자체 분석을 내놓고 있다. 회동이 현실화될 경우 여야 후보들을 움직이게 만든 힘을 대외적으로 과시할 수 있다는 것이다. 안 후보가 높은 여론 지지율을 얻고 있지만 무소속 후보로서 현실 정치에서 얼마나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을지에 대해 의구심을 갖는 이들이 적지 않기 때문이다. 안 후보를 겨냥한 네거티브 공세의 칼끝이 무뎌지게 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고 대선 정국 초반 주도권을 쥘 수 있다는 판단도 깔려 있다. 반대로 회동이 무산되더라도 새 정치를 위한 ‘통 큰 선언’을 했다는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박 후보 측에서는 ‘안철수 프레임’에 끌려갈 가능성을 경계하고 있다. 정치공학적인 접근이라는 우려도 있다. 반면 박 후보가 역사 인식 논란에 대한 사과 발언 이후 정국 주도권을 쥘 재도약의 발판이 될 수 있다는 의견도 만만찮다. 3자 회동이 야권 후보 단일화 명분을 없앨 수 있는 기회로 작용할 수도 있다고 분석된다.

새누리당 이혜훈 최고위원이 25일 “박근혜 후보가 ‘기회가 되면 만나자’고 흔쾌히 답은 했지만 내가 보기에 격에 안 맞는 얘기”라면서 “‘독립 대표로 나가겠다, 단일화하지 않겠다’는 약속을 천명하는 게 먼저”라고 지적한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 이정현 공보단장이 3자 회동에 대해 “개인적으로 관심을 갖고 있다.”고 밝힌 것도 성사 가능성에 무게를 실어주는 대목이다.

문 후보 측도 이날 “시기와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흔쾌히 만날 수 있다.”고 밝혔다. 지난 19일 안 후보가 제안했을 당시 “너무 급박하다.”고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던 것에서 기류가 변했다. 안 후보가 단일화 상대인 만큼 굳이 대립각을 세울 필요가 없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단일화 주도권 경쟁으로 비칠 경우 득보다 실이 클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민주당 우상호 공보단장은 “정치적 계산 없이”라는 조건을 달았다. 안 후보의 제안을 제1야당의 후보가 받아들이는 모양새가 좋지 않다는 점은 고민스러운 대목이다. 자칫 회동 후 여론 지지율이 안 후보에게 쏠리지 않을까 우려하는 분위기도 읽힌다.

장세훈·이영준·송수연기자 shjang@seoul.co.kr

2012-09-26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