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 긴급조치 보상법 발의… 마지막 의정 ‘과거사 청산’ 방점
박근혜 새누리당 대선 후보는 26일 밤 12시를 전후로 70분간 생방송으로 진행된 TV토론에서 18대 대선에 임하는 각오와 정책 등을 밝혔다. 당초 이날 TV토론은 토크쇼와 같은 예능 프로그램 형식으로 구상됐다. 박 후보의 불통 이미지 등을 감안한 것으로 해석된다. 토론 진행자로 연예인이 물망에 오르기도 했다.그러나 경제위기론을 전면에 앞세운 대선 후보로서 적절치 않다는 지적에 따라 토론에 무게감을 실었다. 진행은 아나운서가 맡았고, ‘국민 면접’이라는 토론 명칭에 걸맞도록 외부 전문가와 일반 시민 등으로 구성된 패널이 박 후보에게 질의하는 형식으로 이뤄졌다. 패널 외에 방청객들의 ‘돌발 질문’도 포함됐다.

박지환기자 popocar@seoul.co.kr
朴 유세차량 점검
새누리당 관계자들이 26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 주차장에서 박근혜 새누리당 대선 후보의 유세 차량을 점검하고 있다.
박지환기자 popocar@seoul.co.kr
박지환기자 popocar@seoul.co.kr
그러나 토론에 앞서 패널과 방청객들의 질문지가 사전 유출됐다는 의혹이 제기되기도 했다.
박광온 민주통합당 대변인은 “방송으로 중계되는 토론의 질문지와 답변지의 사전 유출 의혹이 제기됐다.”면서 “제작진이 박 후보가 어느 대목에서 땀을 닦고 옷과 머리 정돈을 해야 하는지 등 사소한 액션까지 주문하고 있다. 속칭 짜고 치는 고스톱을 하겠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새누리당 측은 “대본 유출은 처음 들어 보는 얘기이자 있을 수 없는 얘기”라고 반박했다.
토론에 앞서 박 후보는 국회의원으로서 의정 활동의 마지막을 ‘과거사 청산’으로 장식했다. 의원직 사퇴를 선언한 박 후보가 이날 ‘대한민국 헌법 제8호에 근거한 긴급조치로 인한 피해자 명예회복 및 보상 등에 관한 법률안’을 공동 발의한 것이다. 사실상 박 후보가 제출하는 마지막 법안인 셈이다.
유신헌법에 규정된 초헌법적 권한인 긴급조치가 반유신 세력 탄압 도구로 악용됐던 만큼 박 후보의 이번 법안 발의는 대선 국면에서 자신의 아킬레스건인 과거사 문제에 대한 해결 노력으로 해석된다.
법안을 대표 발의한 하태경 의원은 “법안이 통과되면 긴급조치 제1호, 4호, 7호, 9호에 따라 옥고를 치르거나 형사상 불이익을 받은 피해자 1200여명이 보상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법안에 따르면 대통령 직속으로 ‘긴급조치 피해자 명예회복 및 보상위원회’가 설치된다. 위원회는 피해자 해당 여부와 보상 여부 등을 결정하게 된다. 피해자에 대해서는 보상은 물론 특별 사면·복권, 전과기록 말소 등의 조치도 이뤄질 수 있다.
한편 박 후보에 대한 지지 표명도 잇따랐다. 김영삼(YS) 전 대통령의 차남인 김현철 전 새누리당 여의도연구소 부소장은 26일 “아버님이 박근혜 후보에 대해 공식적으로 지지를 표명하려는 생각을 하고 있다.”면서 “이틀 전 박 후보가 직접 상도동(YS 자택)으로 지지를 호소하는 전화를 했다.”고 밝혔다.
보수 진영의 ‘원조 개혁파’이자 대표적 친이(친이명박)계인 원희룡 전 의원도 이날 영국 유학 도중 귀국해 박 후보의 선거운동을 돕기로 했다. 원 전 의원은 이날 “학업의 마무리를 잠시 미루고 선거운동 개시일에 맞춰 귀국했다.”면서 “‘평당원 원희룡’으로 백의종군할 것”이라고 말했다.
장세훈기자 shjang@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