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인 경제부총리說과 연관돼 주목..”공약실천 차원” 해석도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이 지난 25일 인수위 경제1분과 인수ㆍ전문위원 토론회에서 경제민주화를 언급한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박근혜(왼쪽) 대통령 당선인이 25일 오후 서울 종로구 삼청동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서 경제1분과의 업무보고를 받기에 앞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박 당선인이 공개석상에서 경제민주화를 언급한 게 대선 후 처음이기 때문이다.
‘대선후 경제민주화가 뒷전으로 밀렸다’는 해석이 잦아들면서 그 배경을 놓고 여러갈래의 관측이 나오고 있다.
박 당선인은 이날 토론회에서 “경제민주화를 통해 성장의 온기가 골고루 퍼지도록 만들어 무너진 중산층을 반드시 복원해내는 게 중요한 목표”라며 “우리 경제의 틀을 다시 짠다는 자세로 일해나가야 한다”고 밝혔다.
비공개 회의 때에는 “당에서 이미 발의된 경제민주화 법안들이 국회에서 원활하게 처리될 수 있도록 해달라”고 더욱 구체적인 주문을 내놓았다.
경제민주화는 이날 토론회의 3개 의제인 경제민주화, 가계부채, 하우스푸어 대책 중에서도 가장 먼저 다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박 당선인이 지난 7일 첫 인수위 회의를 주재하면서 “국민안정과 경제부흥을 국정운영 중심축으로 삼겠다”고 말해 ‘경제부흥’에 힘을 실었던 것과 비교하면 상당한 기류변화가 아니냐는 해석이다.
우선 박 당선인이 경제민주화에 소극적이라는 일각의 의구심을 해소하기 위해 거듭 실천 의지를 내세운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중소기업 대통령’을 강조하고 ‘손톱 밑 가시’와 같은 중소기업의 애로를 해소하겠다고 천명한 상황에서 대기업과 중소기업·소상공인간 공존을 핵심으로 하는 경제민주화 의지가 약화된다면 박 당선인의 ‘신뢰정치’에 힘이 실리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다른 한편에서는 경제정책 총사령탑인 경제부총리 인선과 관련이 없지 않은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와 주목되고 있다.
지난해초 박 당선인이 새누리당 비대위원회를 꾸리며 영입해 대선까지 경제민주화 정책에서 호흡을 맞춰온 김종인 전 중앙선대위 국민행복위원장을 염두에 둔 것 아니냐는 것이다.
공교롭게 김 전 위원장도 지난 22일 ‘2013 강원 경제인대회’와 24일 서울 마포구에서 열린 ‘경제민주화의 과제와 실천방안’ 특강에서 “박 당선인은 경제민주화를 실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높게 평가했다. ‘교감설’이 나올 수도 있는 대목이다.
인수위 안팎에서는 박 당선인이 한번 신뢰한 인사가 스스로 떠나지 않는한 그 인사에게 계속 신뢰를 보내는 용인술을 근거로 경제민주화 실천의지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차원에서 ‘김종인 경제부총리 카드’가 가능하다는 관측도 나온다.
김용준 총리 후보자가 새누리당 공동선대위원장으로 선대위에서 대선공약을 맡았던 김 전 위원장과 함께 일했던 점도 ‘김용준 총리-김종인 부총리’ 조합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