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원병 첫 후보토론회…안철수에 집중포화

노원병 첫 후보토론회…안철수에 집중포화

입력 2013-04-16 00:00
수정 2013-04-16 16:4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4·24 서울 노원병 보궐선거에 출마한 여야 후보들은 선거를 여드레 앞둔 16일 첫 토론회에 참석해 불꽃 튀는 대결을 벌였다.

 노원선거관리위원회 주관으로 이날 오후 인덕대에서 열린 토론회에서 새누리당 허준영,통합진보당 정태흥,진보정의당 김지선,무소속 안철수 등 4명의 후보는 자신의 장점은 부각하고 경쟁후보의 약점을 집중 공격하며 견제구를 날렸다.

이날 토론에서는 각종 여론조사에서 앞서는 것으로 나타난 안 후보에게 공격이 집중됐다.안 후보는 수비에 치중하면서 가끔 ‘카운터 펀치’를 날리기도 했다.

 토론회에선 지역개발 이슈 뿐만 아니라 후보들의 과거 행적과 발언 등이 공방의 소재가 됐다.

 먼저 허 후보는 안 후보를 향해 “새 정치를 노원에서 시작한다고 했는데 새 정치의 실체가 무엇인지 애매모호하다”며 “왜 하등 연관성이 없는 노원에서 애매모호한 일을 도모하나”라고 직격탄을 날렸다.

 안 후보는 “새 정치는 민생을 해결하고 서민과 중산층을 대변하며 실제 결과물을 만들어내는 정치”라며 “노원은 우리나라 서민·중산층의 대표적 고민을 안고 있어 새 정치를 이루기에 정말 적합한 곳”이라고 맞섰다.

 안 후보는 김 후보에게 “노원비전위원회를 만들어 국회의원,구청장,주민이 함께 뉴타운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는데 참여 의사가 있느냐”고 동참을 요구했다.

 그러자 김 후보는 “주민 의견을 듣는 것은 바람직하지만,정치인은 지역 현안에 대해 분명한 입장을 제시하고 해결방안을 갖고 있어야 한다”며 안 후보를 우회적으로 공격했다.

 정 후보 역시 “안 후보가 지난번 뉴타운 토론회에서 애매모호하고 어정쩡하게 이야기해서 어떤 주민이 분통을 터트렸다”고 공격에 가세했다.

이에 안 후보는 “이견을 해결하는 것이 정치인의 역할이지,한쪽 편을 들고 정치인의 신념과 반대되는 주민을 적으로 돌리면 문제 해결에 도움이 안 된다”고 반박했다.

 안 후보는 코레일 사장을 지낸 허 후보에게 일각에서 용산국제업무지구 파산 책임론을 제기한 것과 관련,“허 후보가 라디오에서 (자신이) 코레일 사장을 계속했으면 부도가 안 났을 것이라고 했는데 파산한 용산 개발을 다시 일으키고 서부이촌동을 살릴 방법을 말해달라”고 요구했다.

 김 후보도 허 후보를 겨냥해 “코레일 사장 시절 5천명이 넘는 정원을 감축하고 노조 활동을 이유로 173명을 해고하고 1만2천명을 징계했는데 노원에 어떤 일자리 대책이 있느냐”고 몰아붙였다.

 허 후보는 “생존하려면 어느 정도 양보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모든 과정이 정당한 절차와 전문가와의 숙의를 통해 결정된 것”이라며 “장비 현대화 등으로 인원을 감축한 것이지 구조조정 차원에서 해고한 사람은 없다.징계 역시 명분 없는 불법파업 관행을 해결하기 위해 그렇게 한 것”이라고 반박했다.

 허 후보는 김 후보가 삼성X파일 확정 판결로 의원직을 상실한 남편 노회찬 전 의원의 무죄를 증명해달라며 지지를 호소하는 것에 대해 “이미 판결을 받았는데 무죄라고 하는 것은 국민의 법 감정을 무시하는 것 아니냐”고 지적하기도 했다.

 마무리 발언에서 허 후보는 “정부와 여당의 뒷받침을 받아 지역에서 봉사하는 일꾼이 되겠다”고 말했고,정 후보는 “기회가 주어진다면 대북특사로서 한반도 전쟁위기를 해결하겠다”며 지지를 호소했다.

 김 후보는 “준비된 여성 국회의원으로서 부패와 특권에 바른 말을 하겠다”고 포부를 밝혔고,안 후보는 “기득권을 지키려는 거대한 힘을 새 정치를 바라는 국민의 열망으로 돌파하겠다”고 역설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