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외선거 절차 간소화…투표율 제고 기대

재외선거 절차 간소화…투표율 제고 기대

입력 2013-05-02 00:00
수정 2013-05-02 16:4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상시등록·영구명부제 효과 클 듯”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2일 발표한 정치관계법 개정안은 재외국민 선거의 편의를 크게 향상시켜 재외국민 선거 투표율을 대폭 끌어올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정치권 안팎의 관계자들은 이번 개정안에 대해 한목소리로 환영의 뜻을 밝히며 낮은 투표율 때문에 ‘무용론’까지 제기돼온 재외국민 선거의 내실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 상시등록 허용·영구명부제

재외국민선거와 관련해 이번 개정안에서 가장 눈에 띄는 점은 등록 절차가 크게 간편해졌다는 것이다.

개정안이 통과되면 재외 유권자는 선거 실시 여부와 관계없이 언제든지 등록 신청을 할 수 있게 되고 한번 신고하면 해당 명부를 계속 사용하게 돼 변동사항이 없는 한 다음 선거 때는 등록을 할 필요가 없다.

현재는 선거가 있을 때마다 선거일 전 60∼150일에 등록을 새로 해야 한다.

또 등록 신청도 현행 방문 신청과 전자우편(이메일) 신청 외에 우편과 인터넷을 통한 신청도 허용된다.

지금 공관별 1개로 제한된 투표소도 확대된다. 파병부대의 병영 안에도 재외투표소를 설치할 수 있게 되며 재외국민 수, 투표소와의 거리 등을 고려해 공관 이외의 장소에도 추가로 재외투표소를 설치할 수 있다.

아울러 공관이 없거나 재외선거관리위원회가 설치되지 않은 국가에 거주하는 재외선거인에 대해서는 제한적으로 우편투표도 가능해진다.

◇ “투표율 대폭 상승 기대”

지난해 4월 총선과 12월 대선에서 처음 실시된 재외국민 선거는 까다로운 등록과 투표 절차에 대한 논란 속에 저조한 투표율을 기록했다.

대선에서는 재외국민 223만3천695명(추정치) 가운데 10.1%인 22만여 명이 등록했고 이중 71.2%, 전체 유권자 가운데에는 7.1%인 15만8천235명이 투표했다.

총선의 등록률은 5.5%, 전체 유권자 대비 투표율은 2.5%로 더 낮았다.

등록과 투표를 위해 두 차례나 장거리를 이동해야 하는 등 절차상의 불편함이 제기되면서 순회 접수와 전자우편 등록 등이 허용됐으나 대선 등록 며칠 전에야 발효되면서 효과는 제한적이었다.

전문가들은 등록 절차를 대폭 간소화한 이번 개정안이 실질적인 투표율을 높이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강경태 한국재외국민선거연구소 소장은 “현행 재외국민 선거는 공정성에 치중한 나머지 투표의 편의성에는 크게 신경을 쓰지 못했는데 이번 개정안은 편의를 강화해 투표율 제고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며 환영의 뜻을 나타냈다.

강 소장은 “상시등록, 영구명부제 도입, 투표소 확대의 효과가 클 것”이라며 “그렇게 되면 재외국민 선거가 당락을 좌우할 정도로 영향력이 커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김영근 세계한인네트워크 대표도 “그간 정당의 당리당략 때문에 재외국민의 참정권을 보장할 수 있는 선거의 편의성에 대한 고려가 없었다”며 “이번 개정안은 늦은 감이 있지만 매우 바람직하다”고 평가했다.

김 대표는 “개정안이 투표율을 높이는 데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2017년 대선에서는 100만 명 이상이 재외국민 선거에 참여하지 않을까 한다”고 추정했다.

◇ 정치권도 환영…”큰 이견 없을 듯”

여야 의원들도 기본적으로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어 국회에서도 큰 논란 없이 통과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원유철 새누리당 재외국민위원장은 “이번 개정안은 재외국민이 참정권을 행사하는 데 제약을 완화한다는 차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한다”며 “정당 간의 이견도 크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원 위원장은 “재외국민 투표율이 30∼40%로 올라갈 수 있지 않을까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김성곤 민주통합당 세계한인민주회의 수석부의장도 “개인적으로도 찬성하고 다른 의원들도 대체로 동의할 것 같다”면서 “투표율 제고 효과가 상당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