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한길-문재인, 당 혁신 해법 ‘충돌’

김한길-문재인, 당 혁신 해법 ‘충돌’

입력 2013-06-17 00:00
수정 2013-06-17 11:4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金 “당원중심 혁신” vs 文 “시민참여 개방정당”

민주당 김한길 대표와 지난 대선 때 민주당 후보로 나섰던 문재인 의원이 당 혁신 방안을 놓고 견해차를 드러내며 충돌했다.

문 의원이 지난 16일 김 대표가 추진하는 ‘당원중심주의 혁신안’을 비판하자, 김 대표가 17일 반박하고 나선 것이다.

김 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정당 혁신에 있어 분권화와 개방화는 양자택일이 아니라 필수적”이라면서 “분권화는 폐쇄화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어 “대표와 지도부의 가장 큰 권력처럼 얘기되는 공천권도 철저히 당원에게 돌려주겠다”며 중앙당과 지도부에 집중된 권한을 당원에게 주는 ‘분권화’를 추진하겠다는 뜻을 분명히 밝혔다.

그러나 문 의원은 전날 지난 대선 때 자신을 담당했던 기자들과의 간담회에서 이 같은 당 개혁안에 공감을 표하면서도 “더더욱 중요한 것은 민주당이, 일반 시민이 광범위하게 참여할 수 있는 개방적인 정당구조가 돼서 국민정당으로 나아가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문 의원은 “현재 우리 당원은 불과 몇 만명이고, 지역적으로 편중돼 있어 당원중심이면 일반 국민들 의사와는 동떨어질 위험성이 많이 있다”면서 “김 대표가 말하는 당원 중심으로 가려고 하더라도 보다 개방적인 당원구조가 되는 게 전제”라고 김 대표의 ‘당원 중심 혁신안’을 정면 비판했다.

문 의원은 “그나마 확보했던 (시민의) 참여, 이런 것을 다 잘라버리고 당원 중심으로 가는 것은 현실적으로 옳은 방향이라고 보기 어렵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두 사람의 의견차가 표출되자 당내에서는 “올 것이 왔다”는 분위기가 감지된다.

힘을 합쳐야 한다는 정치적 당위에도 불구하고 두 사람 앞에는 ‘장애물’이 가로놓여 있다.

김 대표는 대선 패배 후 당내 주류에 대한 비판과 반발여론을 등에 업고 당권을 장악한 반면 문 의원과 주류 세력은 대선 패배의 ‘원죄’ 탓에 당권을 넘겨준 뒤 와신상담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문 의원은 특히 국회 활동이나 의원들의 개별모임에는 자주 모습을 드러냈지만 의원총회 등 당내 회의나 활동에는 소극적이라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반면 문 의원이나 당내 친노(친노무현)계는 김 대표에 대해 국정원 대선·정치개입 의혹사건 대응에 적극 나서지 않는다며 불만을 터뜨리고 있다.

하지만 민주당이 최악의 위기상황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당내 화합, 특히 김 대표와 문 의원의 의기투합이 중요하다는 게 당내 중론이라는 점에서 양자가 계속 대립각을 키울 수만은 없을 것으로 점쳐진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