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만 전 대통령과 관련한 각종 발언들로 물의를 일으킨 유영익 국사편찬위원장이 한국인들을 ‘짐승’과 비교하며 비하한 사실이 뒤늦게 드러났다.
유영익 국사편찬위원장. / 도준석 기자 pado@seoul.co.kr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유영익 국사편찬위원장. / 도준석 기자 pado@seoul.co.kr
17일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정진후 정의당 의원에 따르면 유 위원장은 1996년 8월 ‘한국논단’에 ‘리승만: 그는 누구인가-세목에 철저하며 거시적 판단 구비한 업적자의자’라는 글을 기고했다.
유 위원장은 이 글에서 이 전 대통령이 한성감옥에서 수감 생활을 하던 중 기독교로 개종해 동료 정치범 40여명을 개종하는데 영향력을 발휘한 것은 한국 개신교 선교사상 획기적인 사실이라면서 “(이 전 대통령은) ‘짐승과도 같은 저열한 상태에 빠진’ 한국민을 기독교를 통해 거듭나게 할 목적으로 신학공부를 곁들여 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지난 2005년 3월 30일 서울신학대학교에서 ‘이승만과 한국의 기독교’란 주제로 강연을 하면서 “(이 전 대통령이) 6년 동안 감옥 생활 중에 성경을 공부하면서 깨달은 바가 컸다. 그것은 한국이 독립을 지키지 못하는 것이, 기본적으로 한국 사람들의 도덕적 수준이 낮기 때문이라고 생각하게 된 것이다”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유 위원장은 지난 10일에도 “제가 3년 전 책임편집한 잡지”라면서 일부 국회의원에게 ‘한국사시민강좌’를 보낸 적이있다. 유 위원장은 이 잡지에서 이 전 대통령을 “대한제국 멸망 이후 광복까지 해외, 특히 구미지역에서 전개된 독립운동의 최고 지도자”로 칭찬한 뒤 그 근거로 “여느 독립운동가보다 신분적으로 격이 높은 조선왕조 왕족 출신”이라고 주장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