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리당원 적극투표층이 결과 가른 듯
6·4지방선거에서 기초선거 공천을 하기로 결론을 낸 새정치민주연합의 당원투표·여론조사는 적극 투표층이 많았던 ‘당심’이 일반 국민의 여론을 누른 결과로 요약된다.국민여론조사에서는 “공천해야 한다”와 “공천하지 않아야 한다”가 소수점 차이에 불과했으나 당원투표에서 “공천해야 한다”는 응답률이 높게 나타나면서 결국 공천하는 쪽으로 확정됐다는 것이다.
새정치연합이 10일 합산 발표한 당원투표·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공천해야 한다”는 응답은 53.44%, “공천하지 않아야 한다”는 응답은 46.56%를 기록했다.
권리당원만 참가한 당원투표에서는 투표 대상자 35만2천152명 중 참가자가 8만9천826명으로 투표율이 25.5%에 그쳤다.
이들 가운데 “공천해야 한다”는 응답률은 5만1천323건으로 57.14%를 기록, “공천하지 않아야 한다”는 응답률 42.86%를 14%포인트 정도 앞질렀다.
당 안팎에서는 권리당원 투표 참가자들 자체가 공천에 적극 찬성하는 당원일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야당의 텃밭으로 상대적으로 당 조직이 탄탄한 호남의 당원이 전체 당원의 58% 가량을 차지한다는 점도 중요한 변수였다.
국민여론조사의 경우, 당원투표와는 상반된 결과가 나왔다.
여론조사 기관 두 곳이 각각 1천명씩 총 2천명을 상대로 조사한 결과 잘 모른다는 응답을 제외한 유효 응답자수는 총 1천570명이었다.
이 중 “공천해야 한다”는 응답률은 49.75%, 그 반대의 응답률은 50.25%였다.
무(無)공천을 선택한 응답자가 많았으나 그 차이는 불과 0.5%포인트 차이였고, 결국 공천에 호의적인 ‘당심’이 더해지며 공천하는 쪽으로 결론지어졌다.
이런 결과에는 설문문항도 영향을 끼쳤을 것이라는 추측이 가능하다.
당원투표·여론조사관리위원회가 공정성을 위해 ‘공천폐지가 대선공약이었다’는 문구와 ‘새누리당은 공천한다’는 문구를 모두 넣었으나 결국은 선거가 불공정하게 치러진다는 사실이 응답에 결정적으로 작용했다는 것이다.
당 지도부의 관계자는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아무리 공정하게 설문문구를 작성했더라도 ‘여당이 공천했다’는 내용이 들어가면 공천해야 한다는 응답이 높게 나올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지난해 7월 민주당이 기초선거 정당공천 폐지안을 전당원투표에 부쳤을 때는 51.9%가 투표에 응했고 이 중 67.7%가 기초선거 공천 폐지에 찬성했다.
당시는 새누리당이 당 정치쇄신특위에서 정당공천 폐지안을 당 지도부에 건의해 놓은 상황이어서 설문 문항에 선거가 불공정하게 치러질 수 있다는 내용이 들어가지 않았던 상황이었다고 이 관계자는 덧붙였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