鄭-金-李 ‘굳히기’vs’뒤집기’…표밭갈이 구슬땀

鄭-金-李 ‘굳히기’vs’뒤집기’…표밭갈이 구슬땀

입력 2014-04-12 00:00
수정 2014-04-13 14:3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13일 오전 서울 용산구 효창동 백범김구기념관에서 제95주년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기념식에서 서울시장 예비후보 박원순 서울시장, 정몽준 새누리당 의원, 이혜훈 새누리당 최고위원, 김황식 전 국무총리. 와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식이 열리고 있다..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13일 오전 서울 용산구 효창동 백범김구기념관에서 제95주년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기념식에서 서울시장 예비후보 박원순 서울시장, 정몽준 새누리당 의원, 이혜훈 새누리당 최고위원, 김황식 전 국무총리. 와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식이 열리고 있다..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6·4 지방선거 서울시장 경선에 격돌한 새누리당 정몽준 의원, 김황식 전 국무총리, 이혜훈 최고위원은 주말인 12일에도 숨가쁘게 움직이며 표심잡기에 진력했다.

김 전 총리 측은 정 의원의 주식 백지신탁 문제를 연일 거론하며 ‘승부수’를 띄웠고, 정 의원은 일반 시민과 접촉면을 늘려 대기업 총수로서의 이미지를 덜어내면서 여론조사 상의 우위를 굳히는데 주력했다.

이들 세 예비후보는 이날 오전과 오후 각각 동작구청장, 성동구청장 경선에 나란히 참석해 경선 유권자의 50%를 차지하는 ‘당심(黨心)’에 구애를 보냈다.

정 의원은 이날 오전 상암동에서 열린 조기축구와 마라톤대회에 잇따라 참석했으며, 오후에는 대학로로 자리를 옮겨 길거리 즉흥 공연을 관람했다.

정 의원은 김 전 총리 측이 자신의 주식 백지신탁 문제를 거론하는데 대해 기자들에게 “김 후보는 전에 법관을 한 것이지 백지신탁 심사위원회 심사위원이 아니다”라면서 “네거티브 선거를 하는 것”이라고 반박했다.

김 전 총리는 이날 오후 남대문시장을 방문해 이 시장 상인연합회 관계자들과 노후시설 개선, 주차난 해소, 쇼핑 인프라 구축 등에 관해 의견을 나누는 한편 자신의 공약인 ‘한양역사문화 특별구지정’과 연계한 발전 방안을 모색했다.

앞서 김 전 총리는 동작구청장 경선에서 기자들에게 “백지신탁은 본선에 가도 문제가 되고 중요한 것이어서 어떤 식으로든지 명확한 의견이라든지 대응책을 내놔야 한다”면서 “아무 말 없이 지나가기에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최고위원은 동대문에서 다일공동체의 ‘밥퍼’ 자원봉사 활동에 참여했으며, 오후에는 강남 봉은사 주지 스님과 만나 ‘불심잡기’에 노력했다.

박춘선 서울시의회 환경수자원위원회 부위원장, 자원순환 시민행사 ‘초록이의 지구여행’ 참석

서울시의회 환경수자원위원회 박춘선 부위원장(강동3, 국민의힘)이 지난 20일 청계광장에서 열린 2025 자원순환 시민행사 ‘초록이의 지구여행’에 참석해 시민들과 직접 만나 자원순환의 중요성과 실천의 가치를 나눴다. 이 행사는 박 부위원장이 시민 참여형 자원순환 문화 확산의 필요성을 지속적으로 제기해온 데 따라 마련된 대표 시민환경 프로그램이다. 행사가 펼쳐진 청계광장은 ▲자원순환 캠페인존 ▲에코 체험존 ▲에너지 놀이터존 ▲초록 무대존 등 네 개의 테마 구역에서 환경 인형극, 업사이클 공연, 에너지 체험놀이터, 폐장난감 교환소 등 다채로운 체험·놀이·공연 프로그램이 운영됐다. 시민들은 자원순환의 과정을 직접 보고, 듣고, 만들어보는 활동을 통해 새활용과 분리배출의 의미를 쉽고 재미있게 익혔으며, 자원순환이 일상의 작은 실천으로 자연스럽게 이어질 수 있음을 몸소 확인하는 시간을 가졌다. 박 부위원장은 축사를 통해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도시의 변화는 시민 한 사람의 작은 실천에서 시작된다”며 생활속 실천활동의 중요성을 되짚었다. 또한 “줍깅 활동, 생태교란종 제거, 한강공원 가꾸기, 새활용 프로그램 등 시민과 함께 한 모든 실천의 순간들이 큰 변화를 만들어왔
thumbnail - 박춘선 서울시의회 환경수자원위원회 부위원장, 자원순환 시민행사 ‘초록이의 지구여행’ 참석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