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굴곡진 14일
문창극 국무총리 후보자는 지난 10일 총리 지명 후 롤러코스터를 타듯 굴곡진 14일을 보냈다. 2011년 교회 강연에서 친일 및 역사관, 종교관 등에 관해 오해를 살 만한 내용이 동영상 등을 통해 공개됐으나 처음엔 당당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억울함을 호소했고 이어 자신의 입장을 강변하더니, 나중에는 침묵으로 일관했다.지난 12일 논란에 대해 취재진이 사과할 뜻을 묻자 “사과는 무슨…”이라며 한마디로 일축했다. 문제가 될 게 없다는 태도였다. 언성을 높이면서 왜곡 보도에 대해선 법적 대응에 나서겠다는 엄포까지 놓았다. 그러면서 슬그머니 총리실 보도자료를 통해선 유감의 뜻을 전했다. 과거 행적의 사실관계를 떠나 인사청문회를 앞둔 공직후보자의 태도라는 측면에서 여론이 악화되기 시작했다. 그래도 논란이 확산되자 “진의가 잘못 전해졌다”며 억울함을 호소했고, 자신의 칼럼 등을 내보이며 적극적인 해명에 긴 시간을 할애했다. “친일이라는 비난만은 말아 달라”고 간절한 목소리로 호소하기도 했다. 취재진을 대하는 태도가 달라졌을 뿐만 아니라, 여론을 상당 부분 의식했다. 지난 15일에는 일본군 위안부 관련 발언에 대해 공식적으로 사과했다.
해명이 반복되면서 정부청사 출퇴근 길에 엉뚱하게 독립운동가들에 대한 존경을 피력하기도 했다. 일본 정부에 관해서도 따끔한 주장을 펴기도 했다. 취재진에게 마치 학생 강의를 하듯, 자신의 애국심과 건전한 역사 의식 등에 대해 거듭 강조했다. 그러나 질문은 일절 받지 않은 탓에 일방적인 강변에 가까웠다. 청문회 강행을 외치던 여권의 기류가 바뀐 것은 지난 17일 실세인 서청원 새누리당 의원이 후보자 사퇴를 주장하면서부터다.
그 뒤에는 여권 수뇌부마저 자신에게 등을 돌리자 한발 물러서 침묵의 시간을 보냈고, 이어 사퇴 결심을 한 것으로 보인다. 그 사이에 일제강점기 조부에 대한 독립유공자 확인을 받았다.
이석우 선임기자 jun88@seoul.co.kr
2014-06-25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