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3번째 軍위안부 협의…구체 해법 조율 주목

한일, 3번째 軍위안부 협의…구체 해법 조율 주목

입력 2014-07-23 00:00
수정 2014-07-23 11:0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日, 자국 생각 보일 시기”…정부, 해결방안 조속제시 촉구

한일 양국이 23일 오후 일본군 위안부 문제와 관련한 세 번째 국장급 협의를 진행하면서 구체적인 해법에 대한 양국간 조율이 본격화할지 주목된다.

양측은 지난 4월과 5월에 열린 두 차례 협의에서 서로 기본 입장에 대한 탐색을 마친 상태다. 시점상 이제는 탐색전에서 벗어나 본격적인 해법을 모색하는 단계로 양측이 협의를 진전시켜야 할 때다.

일본군 위안부 동원의 강제성을 인정한 고노(河野)담화 흔들기 차원에서 추진된 일본의 담화 검증 결과 발표로 악재가 드러났다는 점에서 군 위안부 문제 논의 진전을 위한 새로운 국면 전환도 예상된다.

정부의 한 관계자는 이날 “이젠 앞으로 협의를 어떻게 끌고 갈지 일본의 생각을 보여줘야 할 시기”라면서 “이후 협의가 어떻게 진행될지 이번 협의가 시금석이 될 수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한일 양국간 협의는 이번 협의에서 일본이 어떤 메시지를 내놓을지에 따라 앞으로의 속도와 방향이 정해질 수 있다.

군 위안부 문제를 풀지 못할 경우 최악의 상태가 지속되고 있는 한일관계를 질적으로 변화시킬 동력을 찾을 수 없는 상태다.

다른 정부 관계자는 “일본도 이 문제가 굴러가야 다른 이슈도 같이 굴러갈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라고 말했다.

우리 정부는 이날 협의에서 일본의 고노담화 검증 결과에 대해 거듭 유감을 표명하는 한편 일본이 고노담화 계승 입장을 밝힌 만큼 조속한 시일 내에 군 위안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할 것을 촉구할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군 위안부 문제에 대한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의 기본 인식은 협의 진전의 걸림돌로 지적되고 있다.

아베 총리는 스타일상 필요성이 있으면 정치적인 결단을 할 수도 있는 인물로 평가되지만, 군 위안부 문제에 대해서는 기본적으로 “강제 연행 증거가 없다”는 기본 입장을 보여왔다.

나아가 아베 정권의 정치적인 기반이 일본 내 우익 세력이라는 점도 장애 요인이다. 이 때문에 일본 내에서 군 위안부 문제 해결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커지더라도 정부 정책으로 반영되기는 쉽지 않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는 상태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