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러관계 도약 발판 마련, 정상회담 공감대 마련 주목
북한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의 특사인 최룡해 노동당 비서의 러시아 방문 일정이 24일 마무리된다.최룡해 비서의 러시아 방문은 올해 들어 급속히 강화된 북한과 러시아의 우호관계를 재확인하고 이를 한 차원 높일 발판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나름 성과를 거뒀다는 평가가 나온다.
최 비서는 지난 17일(러시아 현지시간) 모스크바에 도착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만나 김정은 제1위원장의 친서를 전달했으며 20일에는 세르게이 라브로프 외무장관과 회담했다. 이어 21일 극동 도시 하바롭스크에 도착한 그는 24일 북한으로 귀환할 예정이다.
최 비서의 방러 성과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부분은 김 제1위원장과 푸틴 대통령의 정상회담 개최 방안에 대한 공감대를 이뤘다는 점이다.
라브로프 장관은 지난 20일 기자회견에서 북한과 ‘최고위급’을 포함한 접촉을 진행할 준비가 돼 있다고 밝혀 북러 정상회담에 나설 의사가 있음을 시사했다.
김 제1위원장과 푸틴 대통령의 정상회담이 성사되면 양국관계를 한 단계 끌어올리는 결정적인 계기가 될 수 있다. 김 제1위원장도 집권 이후 처음으로 외국 정상과 회담하며 국제무대에 ‘데뷔’하는 기회를 얻게 된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 교수는 “최룡해 비서의 러시아 방문은 북한 입장에서는 상당히 성공적이었다”며 “양국이 추가 고위급 인사 교류를 통해 분위기를 조성한 뒤 내년 초쯤 정상회담을 개최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핵문제와 인권문제로 국제사회에서 고립된 북한은 이번에 러시아의 분명한 지지 입장을 끌어내 든든한 우군을 확보하는 성과도 올렸다.
라브로프 장관은 북한 핵문제와 관련해 ‘전제 조건 없이 6자회담에 복귀하겠다’는 북한의 입장을 지지한다고 밝혔다. 북한 핵협상을 총괄하는 김계관 외무성 제1부상이 최룡해 비서와 푸틴 대통령, 라브로프 장관의 회담에 모두 배석한 점으로 미뤄 양측이 핵문제에 관해 구체적인 조율작업을 했을 가능성이 크다.
라브로프 장관은 유엔의 북한인권결의안 채택을 비롯한 대북 인권 압박에 대해서도 “역효과를 낳을 것”이라며 반대 입장을 명확히 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상임이사국인 러시아뿐 아니라 중국도 북한인권결의안에 반대하는 상황에서 안보리가 결의안의 권고대로 북한 인권문제를 국제형사재판소(ICC)에 회부할 가능성은 희박하다는 전망이 우세하다.
최룡해 비서의 이번 러시아 방문 기간 양국은 군사와 경제 분야의 협력을 강화하는 방안도 논의했다.
최 비서와 동행한 노광철 북한군 총참모부 부총참모장은 지난 19일 안드레이 카르타폴로프 러시아군 총참모부 작전총국장과 회담했으며 같은 날 리광근 대외경제성 부상은 알렉산드르 갈루슈카 러시아 극동개발부 장관을 만났다.
특히 양측 군사회담의 구체적인 내용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합동훈련을 포함한 군사협력 강화 방안이 논의됐을 것으로 관측된다.
북한이 러시아 극동개발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의지를 보이는 가운데 최 비서는 방러 일정의 절반을 극동 지역 방문에 할애해 농업을 비롯한 양국의 경제협력 방안을 집중적으로 논의했을 것으로 보인다.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이 최 비서의 러시아 방문 마지막 날인 24일 ‘원동(극동) 지역 발전을 위한 러시아의 적극적인 노력’이라는 제목의 글에서 극동 지역을 ‘러시아의 보물고’이자 ‘전망이 매우 큰 지역’으로 평가한 것도 예사롭지 않다.
노동신문은 러시아가 극동 지역에서 조선산업과 과학기술 발전 등에 ‘국가적인 투자’를 늘리고 있다며 “러시아는 원동 지역의 발전을 위해 아시아 나라들과의 협조를 더욱 긴밀히 해나가려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