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오는 16일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생일 ‘광명성절’을 사흘 앞두고 다양한 자축 행사를 열며 명절 분위기를 띄우고 있다.
이미지 확대
북한 광명성절 기념 ’얼음조각축전’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생일인 ’광명성절’(2월 16일)을 기념하는 ’얼음조각축전’이 지난 5일부터 양강도 삼지연군에서 진행 중이라고 조선중앙통신이 13일 보도했다. 축전에는 수정다리와 수정동굴을 비롯한 1천여 점의 얼음조각이 전시됐다.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북한 광명성절 기념 ’얼음조각축전’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생일인 ’광명성절’(2월 16일)을 기념하는 ’얼음조각축전’이 지난 5일부터 양강도 삼지연군에서 진행 중이라고 조선중앙통신이 13일 보도했다. 축전에는 수정다리와 수정동굴을 비롯한 1천여 점의 얼음조각이 전시됐다. 연합뉴스
이미지 확대
북한, 백두산 밀영서 ’김정일 생일’ 기념 축포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12일 백두산 밀영에서 김정일의 생일을 기념하는 결의대회가 열렸다고 13일 밝혔다. 이날 결의대회에서는 김기남 당비서, 현영철 인민무력부장 등이 연설자로 나서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업적’을 치켜세웠으며 축포 행사 등도 열려 분위기를 고조시켰다.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북한, 백두산 밀영서 ’김정일 생일’ 기념 축포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12일 백두산 밀영에서 김정일의 생일을 기념하는 결의대회가 열렸다고 13일 밝혔다. 이날 결의대회에서는 김기남 당비서, 현영철 인민무력부장 등이 연설자로 나서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업적’을 치켜세웠으며 축포 행사 등도 열려 분위기를 고조시켰다. 연합뉴스
조선중앙방송은 13일 김정일 위원장이 태어난 곳으로 선전하는 백두산 밀영에서전날 ‘백두산 밀영 결의대회’가 열렸다고 전했다.
연설자로 나선 현영철 인민무력부장은 김 위원장이 후손을 위해 ‘강위력한 정치 군사적 토대’를 마련했다고 치켜세우고 ‘백두산 혈통’을 이어받은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에 대한 충성을 다짐했다.
이날 결의대회에는 김기남·곽범기 당비서, 김용진·리철만 내각 부총리 등 당정 고위인사들이 참석했다.
북한은 김정일 위원장의 출생지를 백두산으로 선전하지만 실제 태어난 곳은 러시아 하바롭스크로 알려졌다.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이날 2면을 김 위원장의 생전 활동 모습을 담은 사진으로 도배했다.
나머지 지면도 삼지연 얼음조각 축전, 웅변모임, ‘김정일화’ 전시회 등 김 위원장의 생일을 축하하기 위한 다양한 행사 소식으로 채워졌다.
조선중앙통신은 미국에서 열린 음악회,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조선총련) 축하행사 등을 전하며 분위기 띄우기에 동참했다.
대남선전용 웹사이트 ‘우리민족끼리’도 김정일 위원장의 생전 활동과 관련된 글들을 다수 게재했다.
북한 매체들은 지난 4일부터 ‘광명성절’을 기념하는 백두산상 체육경기대회 소식도 연일 전하며 명절 분위기를 돋우고 있다.
북한은 김일성 주석 사망 이듬해인 1995년 김정일 위원장의 생일을 김 주석 생일과 함께 ‘민족 최대의 명절’로 정했으며 2012년부터 ‘광명성절’로 명명해 기념하고 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