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완종 리스트’ 파문에 연루된 이완구 국무총리와 이병기 청와대 비서실장의 거취 문제에 대해 당사자는 물론 청와대와 새누리당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이번 파문이 어디까지 확산될지 예측하기 어려운 데다 당·정·청 간 고민의 지점도 달라 묘수를 찾아낼 수 있을지 주목된다.
이미지 확대
이재오(오른쪽) 새누리당 의원이 15일 국회에서 열린 새누리당 최고중진연석회의에서 이완구 국무총리의 자진 사퇴를 촉구하고 있다. 왼쪽은 김무성 대표. 도준석 기자 pado@seoul.co.kr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이재오(오른쪽) 새누리당 의원이 15일 국회에서 열린 새누리당 최고중진연석회의에서 이완구 국무총리의 자진 사퇴를 촉구하고 있다. 왼쪽은 김무성 대표. 도준석 기자 pado@seoul.co.kr
새누리당은 이번 파문과 관련해 ‘정권의 보호막’ 역할을 사실상 거부한 것으로 해석된다. 당 지도부는 파문에 대한 성역 없는 수사를 요구한 데 이어 특별검사 조기 도입 의사를 밝히는 등 정면 돌파 의지를 보이고 있다. 이재오 의원 등 옛 친이(친이명박)계를 비롯한 비박(비박근혜)계를 중심으로 이 총리에 대한 사퇴 압박도 노골화되고 있다. 4·29 재·보궐 선거 이후가 더 큰 문제다. 선거 결과에 따라 당내 역학 관계는 물론 당·청 관계도 뿌리째 흔들릴 수 있기 때문이다.
당 관계자는 “선거에서 질 경우 당 내부적으로는 계파 지형의 변화로 이어질 수 있고, 외부적으로 연루자를 포함한 ‘인적 쇄신’ 요구가 거세지는 계기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청와대 입장에서는 ‘박근혜 대통령의 보호막’이 사라질 수 있다는 위기의식이 작동하고 있다. 이 총리와 이 비서실장의 입지가 동시에 흔들릴 경우 정치 공세가 박 대통령을 직접 겨냥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정권의 투톱을 읍참마속(泣斬馬謖)의 각오로 내칠 경우 국정 운영 동력을 상실할 수 있고, 그렇다고 끌어안고 가기에는 정치권과의 관계 설정이 쉽지 않을 수 있다. ‘인적 쇄신’ 요구에 어떤 식으로 부응할지 외에 청와대가 이번 파문 과정에서 내놓을 선택지가 거의 없다는 점도 고민을 키우는 대목이다. 박 대통령의 중·남미 순방(16∼27일) 후 내놓을 메시지가 중요할 수밖에 없다.
이 총리와 이 비서실장은 ‘정치적 보호막’을 마련할 수 있는지 여부가 관건이다. 특히 리스트에 이름이 올랐다는 점 외에 아직까지는 이렇다 할 추가 의혹이 없는 이 비서실장보다는 여야로부터 거센 사퇴 압박을 받고 있는 이 총리의 선택에 우선적인 관심이 쏠린다.
이 총리는 ‘목숨’이라는 극단적인 언어까지 사용하면서 각종 의혹을 전면 부인하고 있지만 금품을 주고받은 구체적인 정황이 제기되면서 여론이 악화되는 상황이다. 현재로서는 총리직을 유지하는 쪽으로 무게가 실려 있지만, 이른바 ‘식물 총리’가 될 것이라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정치적 돌파구를 스스로 찾지 못할 경우 이 총리의 사퇴는 ‘시간문제’로 받아들여질 수밖에 없다.
장세훈 기자 shjang@seoul.co.kr
2015-04-16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