親文이 되지 못하는 親盧, 리더가 되지 못하는 2인자
새정치민주연합의 내분이 일어날 때마다 친노무현계는 늘 논란의 핵심에 서 있었다. 4·29 재·보궐선거 4곳 전패 이후에도 어김없이 ‘친노 패권주의 청산’ 주장이 나왔고, 당 내홍은 급기야 친노 대 비노무현계의 전면전으로 비화하고 있다. 정말 ‘친노 패권주의’가 중요한 선거들을 패배로 몰고 간 중요한 원인일까. 친노는 실체라는 주장도 있고, 여당이 만든 프레임일 뿐이라는 주장도 있다. 야권 내부 갈등의 가장 뜨거운 감자인 친노의 실체가 무엇인지 진단해 본다.
연합뉴스
위기의 당대표 100일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가 17일 국회에서 열린 비공개 최고위원회의에 참석, 회의장으로 들어서고 있다. 문 대표는 이번 주 내로 ‘초계파 혁신기구’를 출범, 내달 중으로 쇄신안을 마련키로 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우선 친노 세력 자체에서 원인을 찾는 시각이 있다. 친노 그룹이 문 대표를 정치인 ‘노무현’의 완벽한 대체자로 보지 않는다는 해석이다. 새정치연합의 수도권 재선 의원은 “원류그룹인 부산 친노의 핵심 멤버인 이호철 전 청와대 민정수석 등에게 노무현은 ‘운동권 동지 관계’이자 리더의 성격이 강했지만, 문 대표는 자기들보다 정치에 늦게 입문한 후배이고 동료 이상의 관계로 보지 않는다”면서 “관계가 평등하지 않으니 ‘친문’으로 계파가 형성될 수 없다”고 분석했다.
이 같은 시각은 ‘2인자’ 문재인의 한계라는 분석으로 이어진다. 이현우 서강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노무현·문재인의 관계를 빌 클린턴 전 미국 대통령과 그의 러닝메이트였던 앨 고어 전 부통령의 관계에 비유했다. 이 교수는 “앨 고어는 미국에서 임기 말까지 큰 인기를 누렸던 클린턴의 그늘 아래 있어야 했다”면서 “앨 고어가 민주당 후보였던 2000년 미 대선에서는 부통령이라는 이미지를 벗기 위해 클린턴이 선거운동에도 나서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어 “문 대표는 노무현과 차별성을 두는 순간 자신의 출발점을 부정하는 셈이 될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문 대표 개인의 ‘캐릭터’에 대한 지적도 있다.
“당 대표와 대선후보는 하늘과 땅 차이다. 당 대표의 역할이 다른데 문 대표와 그의 참모들은 대선후보 때처럼 당을 이끌려고 한다.”
문 대표의 리더십을 바라보는 당 안팎의 시각을 드러낸 새정치연합 의원의 말이다. 결국 문 대표의 약한 리더십 때문에 그를 중심으로 세력이 재편되지 못한다는 설명이다. 4·29 재·보선 패배를 전후로 경제정당과 중도 노선을 기치로 문 대표 앞으로 모이던 당내 움직임도 사실상 멈췄다. 재·보선에서 습관처럼 과거의 정권심판론을 다시 들고 나온 것은 문 대표와 주변의 정무감각 부재를 드러낸 것이란 지적도 있다. 당직을 두루 경험한 이 의원은 “김한길 등 전 대표들 때와 비교하면 문 대표의 공식 회의 건수가 크게 줄었다고 한다”면서 “공식라인의 당직자들이 대표의 의사 결정에 참여하지도 못하고 결과를 이해하지도 못하는 상황이 반복되고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안석 기자 sartori@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