틀어진 文-李 투톱 ‘어정쩡 공조’…野 대여전략 차질?

틀어진 文-李 투톱 ‘어정쩡 공조’…野 대여전략 차질?

입력 2015-06-26 11:26
수정 2015-06-26 11:2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국회법 이슈만 공동대응…李 나머지 당무는 거부文 강경모드로 존재감 부각, 李 ‘빈손협상’ 난감…”내전 멈춰야”계파대리전 양상에 해법 꼬여…비주류 “文, 朴대통령과 닮아”

박근혜 대통령의 국회법 개정안 거부권 행사로 새정치민주연합에 비상이 걸렸지만, 문재인 대표와 이종걸 원내대표 등 ‘투톱’은 당직인선으로 촉발된 계파갈등의 앙금을 털어내지 못하고 있다.

극단으로 치닫던 대립은 전날 거부권 정국을 계기로 잠시 휴전 양상을 띠었으나, 이 원내대표는 국회법 관련 이슈에서만 문 대표와 보조를 맞출 뿐 다른 당무는 계속 거부하고 있다.

대여투쟁을 위한 ‘단일대오’를 만들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지만, 개인간 충돌을 넘어선 계파 대리전 양상을 보여 해결책을 마련하기 쉽지 않다는 분석도 나온다.

이 원내대표는 26일 당 대표실에서 열린 최고위원-중진의원 연석회의에 나타나지 않다가, 비공개로 전환된 후에야 회의장에 들어섰다.

그는 전날 심야 최고위원회도 불참하고 수석부대표실에서 24시간 농성에 돌입했으며, 전병헌 최고위원 등이 참석을 권유하러 왔지만 거절했다.

문 대표도 최고위 후 원내대표실을 찾았으나, “수석부대표실에 머물고 있다”는 설명을 듣고는 그대로 발길을 돌렸다.

그러면서도 이날 오전 10시 의원총회나 곧바로 이어진 대국민호소문 발표에는 양측이 함께하는 등 어정쩡한 ‘따로 또 같이’ 행보를 보이고 있다.

당내서도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신기남 의원은 회의에서 “원내대표가 왜 안왔나”라며 “당 대표와 원내대표가 상의해 국회법 재의절차를 밟아야 체면이 서지 않겠나”라고 했다.

문 대표와 이 원내대표 주변에서도 관계개선의 필요성에 대한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문 대표의 경우 전열정비가 시급한 만큼 계파갈등이 길어져 좋을 것이 없다.

특히 국회법 정국에서 당분간 대여 강경투쟁을 이어갈 수밖에 없는 만큼 ‘유능한 경제정당’ 행보나 중도강화 행보는 당분간 약화될 전망이어서, 중도층의 지지를 받는 비주류와의 마찰은 피해야 할 상황이다.

실제로 이날 문 대표는 대국민호소문에서 박근혜 대통령을 향해 “한국 정치를 악성 전염병에 감염시켰다”, “국민적 질타를 다른 곳으로 돌리려는 치졸한 정치이벤트” 등 강도높은 비난을 쏟아내면서 각을 세우는 등 지지층 결집을 시도했다.

이 원내대표도 황교안 국무총리 후보자 임명동의안과 국회법 개정안 등 협상에서 계속 아무것도 얻어내지 못해 강경파들의 반발이 예상되고, 여당도 등을 돌리면서 점차 고립되는 모양새여서 계속 문 대표와 각을 세우기 부담스러울 수밖에 없다.

대립이 길어진다면 거부권 정국에서 당 대표를 흔들며 적전분열을 일으킨다는 비난도 받을 수 있다.

이처럼 두 대표 모두 확전이 부담스러운 상황임에도, 이들의 개인적안 관계 개선으로 봉합을 이루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주류-비주류 갈등의 골이 깊어질대로 깊어진 가운데 이 원내대표눈 사실상 비주류를 대변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국회법 정국 이후 다소 수그러들긴 했지만 계파간 신경전은 간헐적으로 계속되고 있어, 언제든 내홍이 재점화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

비주류인 황주홍 의원은 평화방송 라디오에서 “당내 갈등은 잠시 잠복했지만 해소되거나 극복된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황 의원은 “문 대표가 박 대통령에게 독단적이고 정치를 버렸다면서 비판했는데, 본인은 자유로운가”라며 “김상곤 혁신위원장도 (사무총장의 공천) 문제가 심각하다고 느낀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표절시비를 일으킨 신경숙 소설가와 박 대통령, 문 대표가 모두 닮았다. 스스로 화를 키우고 있는데 본인들만 모른다”며 “신 작가는 독자들을, 박 대통령은 국민을, 문 대표는 당원과 의원들을 얕잡아 보고 있다”고 했다.

비주류 수장인 김한길 전 대표도 이날 최고위원-중진위원 연석회의에 불참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