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적십자사(한적)는 올해 이산가족의 사후 교류를 준비하는 사업을 대대적으로 펼치기로 했다고 28일 밝혔다.
이산가족의 고령화에 따른 사망자 수가 계속 늘어나기 때문이다.
한적은 이를 위해 연말까지 이산가족 1만 명의 영상편지를 제작하고, 1만 명의 유전자를 검사한다.
영상편지는 10∼13분짜리로 안부 인사를 전하고 고향, 가정, 추억 등 일상적인 얘기, 상봉 기대 등의 내용을 담는다.
한적은 전문업체에 의뢰해 이산가족 집을 직접 방문해 영상편지를 만든다.
제작 비용은 남북협력기금 20억1천여만원으로 조달한다.
한적이 2005년과 2008년 2012년, 2013년, 2014년에 연도별로 20명에서 4천 명 정도의 영상편지를 제작했지만, 올해처럼 대대적으로 만드는 건 처음이다.
이와 함께 한적은 1만 명의 유전자를 검사해 검사 내용과 결과를 보관한다.
앞서 지난해에 1천211건의 유전자를 검사한 바 있다.
검사 비용은 남북협력기금 9억7천여만원으로 충당한다.
영상편지 제작과 유전자 검사는 이산가족의 사후 교류를 추진하려는 것이다.
영상편지의 경우 될 수 있는 대로 생존 때 재북 가족에게 보낼 수 있도록 노력하겠으며, 사후에라도 전달될 수 있도록 준비하려는 것이다.
유전자 검사는 가족관계 확인 등 사후 교류뿐 아니라 재산권, 상속 문제 등 법적 분쟁에 대비하는 차원도 있다.
1988년부터 올해 5월 말까지 상봉을 신청한 이산가족은 12만 9천688명에 이른다.
이 가운데 6만 6천843명(51.5%)이 생존하고, 6만 2천845명(48.5%)은 고령 등으로 숨졌다.
생존자 나이는 90세 이상 8천82명(12.1%), 80∼89세 2만 8천378명(42.5%), 70∼79세 1만 8천208명(27.2%), 60∼69세 6천879명(10.3%), 59세 이하 5천296명(7.9%) 등으로 집계됐다.
연합뉴스
이산가족의 고령화에 따른 사망자 수가 계속 늘어나기 때문이다.
한적은 이를 위해 연말까지 이산가족 1만 명의 영상편지를 제작하고, 1만 명의 유전자를 검사한다.
영상편지는 10∼13분짜리로 안부 인사를 전하고 고향, 가정, 추억 등 일상적인 얘기, 상봉 기대 등의 내용을 담는다.
한적은 전문업체에 의뢰해 이산가족 집을 직접 방문해 영상편지를 만든다.
제작 비용은 남북협력기금 20억1천여만원으로 조달한다.
한적이 2005년과 2008년 2012년, 2013년, 2014년에 연도별로 20명에서 4천 명 정도의 영상편지를 제작했지만, 올해처럼 대대적으로 만드는 건 처음이다.
이와 함께 한적은 1만 명의 유전자를 검사해 검사 내용과 결과를 보관한다.
앞서 지난해에 1천211건의 유전자를 검사한 바 있다.
검사 비용은 남북협력기금 9억7천여만원으로 충당한다.
영상편지 제작과 유전자 검사는 이산가족의 사후 교류를 추진하려는 것이다.
영상편지의 경우 될 수 있는 대로 생존 때 재북 가족에게 보낼 수 있도록 노력하겠으며, 사후에라도 전달될 수 있도록 준비하려는 것이다.
유전자 검사는 가족관계 확인 등 사후 교류뿐 아니라 재산권, 상속 문제 등 법적 분쟁에 대비하는 차원도 있다.
1988년부터 올해 5월 말까지 상봉을 신청한 이산가족은 12만 9천688명에 이른다.
이 가운데 6만 6천843명(51.5%)이 생존하고, 6만 2천845명(48.5%)은 고령 등으로 숨졌다.
생존자 나이는 90세 이상 8천82명(12.1%), 80∼89세 2만 8천378명(42.5%), 70∼79세 1만 8천208명(27.2%), 60∼69세 6천879명(10.3%), 59세 이하 5천296명(7.9%) 등으로 집계됐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