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연평해전 ‘6용사’ 서해상에 모두 모였다

제2연평해전 ‘6용사’ 서해상에 모두 모였다

입력 2015-06-28 12:49
수정 2015-06-28 14:4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전사자 이름딴 6척, 2함대 배치 후 첫 해상기동훈련

이미지 확대
출전 결의식
출전 결의식 제2연평해전 승전 13주년을 앞둔 27일 오전 제2연평해전 전사자 6인의 이름을 함명으로 명명한 윤영하함, 한상국함, 조천형함, 황도현함, 서후원함, 박동혁함의 함장들이 해상기동훈련을 위해 출항을 앞두고 제2연평해전 전적비를 찾아 전사자들의 부조 앞에서 경례하고 있다. 앞줄 22전투전대장 강동훈 대령. 뒷줄 오른쪽부터 윤영하함장 최창현 소령, 한상국함장 이창훈 소령 조천형함장 박태룡 소령, 황도현함장 박기범 소령, 서후원 함장 남상욱 소령, 박동혁 함장 송현준 소령.
연합뉴스


제2연평해전에서 전사한 여섯 명의 해군 용사들의 이름으로 명명된 유도탄고속함(PKG·400t급) 6척이 조국 바다 수호를 위해 서해상의 한 자리에 모두 모였다.

해군은 제2연평해전 13주년을 하루 앞둔 지난 27일 서해상에서 전사자 6용사의 이름으로 명명한 유도탄고속함 6척이 모두 참가한 가운데 해상기동훈련을 했다고 28일 밝혔다.

해상기동훈련에는 윤영하함, 한상국함, 조천형함, 황도현함, 서후원함, 박동혁함 등 유도탄고속함 6척이 참가했다.

제2연평해전 13주년을 맞아 우리 해군의 NLL·영해 사수 의지를 다지고, 북한의 도발에 대비한 작전수행 능력을 강화하자는 차원에서 이뤄졌다. 실탄 사격을 비롯한 북한의 NLL 국지도발 대응 등 실전적 훈련으로 진행됐다고 해군은 설명했다.

제2연평해전 6용사의 이름을 붙인 유도탄고속함 6척이 한자리에 모여 훈련을 한 것은 제2연평해전 10주년이었던 2012년 6월에 이어 두 번째다.

당시 훈련 때는 함정 6척이 각각 1함대와 2함대로 소속이 달랐으나, 이번에는 모두 2함대 소속으로 재배치된 이후 처음으로 한자리에 모였다.

해군은 지난해 연말부터 지난 2월 1일까지 1함대 소속이었던 한상국함과 황도현함, 박동혁함을 차례로 2함대로, 2함대에 있던 유도탄고속함 3척을 1함대로 각각 재배치했다.

이번 훈련에 참가한 윤영하함의 함장 최창현 소령은 “최후 순간까지 자신의 위치에서 NLL을 사수했던 고(故) 윤영하 소령을 비롯한 여섯분의 숭고한 희생정신을 본받아 도발하는 적은 바다에서 반드시 격멸할 것”이라고 말했다.

같은 함정에 근무하는 최연수 수병은 “연평해전 선배 전우들은 우리들의 가슴 속에 영원히 함께 할 것”이라며 “우리는 최선을 다해서 이 바다를 사수할 것”이라고 다짐했다.

해군은 제2연평해전 이후 대비태세를 한층 강화했다.

현장에서 신속히 대응하도록 교전규칙을 단순화했고, 해전의 주축 세력이었던 고속정(130t)의 방탄능력 보강과 함께 M-60 기관총을 K-6 중기관총으로 교체해 화력을 보강했다.

지휘통신 능력 향상을 위해 표적정보 전시기와 위성통신체계를 설치했다.

고속정과 초계함(1천200t급), 호위함(1천500t급) 등 노후 함정을 윤영하급 유도탄고속함, 인천급 호위함(FFG·2천500t급) 등 신형 함정으로 교체 중이다.

유도탄고속함에는 고속정의 40mm 함포보다 강력한 76mm 함포와 대함유도탄(해성-Ⅰ)이 탑재됐고, 고속기동과 스텔스 선체, 강화된 방탄능력 등으로 생존성이 크게 높아졌다.

인천급 신형 호위함은 해상작전헬기를 탑재하고 대함유도탄(해성-Ⅰ)과 대공유도탄(RAM), 전술 함대지 유도탄(해성-Ⅱ)을 장착해 도발원점까지 타격할 수 있다.

한편 29일 오전 10시30분 2함대사령부에서 거행하는 제2연평해전 13주년 기념식은 정호섭 해군참모총장 주관한다. 한민구 국방장관도 기념식에 참석해 처음으로 추모사를 낭독한다.

정 총장은 기념사를 통해 “서해의 영웅들은 적의 기습공격에도 죽음을 각오한 결연한 의지로 싸워 단 한치의 바다도 용납하지 않고 적을 물리쳤으며 유도탄고속함으로 되살아나 지금 서해를 지키고 있다”며 “적이 도발한다면 처절하게 응징해 다시는 우리의 바다와 영토를 감히 넘보지 못하도록 하겠다”고 다짐할 예정이다.

올해는 제2연평해전을 소재로 한 영화 ‘연평해전’이 개봉돼 그 의미를 더하고 있다.

제2연평해전은 한·일 월드컵 3,4위전이 열렸던 2002년 6월 29일 오전 10시께 북한 경비정 2척이 서해 NLL을 침범해, 우리 해군의 참수리 357호정에 기습 공격을 가해 발발했다.

이 전투로 윤영하 소령 등 6명이 전사하고 19명이 부상했으며 북한군은 30여명의 사상자가 발생했고 경비정은 화염에 휩싸인 채 퇴각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