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문표 “4년간 194개 학교급식서 기준초과 농약 검출”

홍문표 “4년간 194개 학교급식서 기준초과 농약 검출”

입력 2015-09-19 15:00
수정 2015-09-19 15: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학생급식에 공급된 농산물 식재료에서 기준치를 초과하는 농약이 검출된 학교가 지난 4년간 200개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홍문표 의원이 19일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1년부터 지난해까지 전국 194개의 초·중·고교 급식 재료에서 기준치를 넘는 잔류 농약 275건이 검출됐다.

서울 지역 725개 학교에 급식 식재료를 공급하는 서울시 산하 서울친환경유통센터에서는 지난해 11월 참나물에서 맹독성 농약인 카벤다짐의 검출치(4.2527㎎/㎏)가 기준치(2㎎/㎏)를 웃돌았고, 사흘간 총 69㎏이 시내 5개 학교에 납품됐다

또 포항시내 127개 학교와 112개 유치원에 식재료를 공급하는 포항시학교급식지원센터에서도 지난 2013년과 지난해 기준치를 초과하는 농약이 대파, 부추, 깻잎, 참나물, 얼갈이배추 등에서 7차례 검출됐으며, 9개 학교에 유통됐다.

홍 의원은 “아이들에게 안전한 농산물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식자재 공급 기관에서 최대한 빨리 검사를 실시해서 문제가 없다는 걸 확인한 뒤 식자재를 공급하는 시스템이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박춘선 서울시의회 환경수자원위원회 부위원장, 자원순환 시민행사 ‘초록이의 지구여행’ 참석

서울시의회 환경수자원위원회 박춘선 부위원장(강동3, 국민의힘)이 지난 20일 청계광장에서 열린 2025 자원순환 시민행사 ‘초록이의 지구여행’에 참석해 시민들과 직접 만나 자원순환의 중요성과 실천의 가치를 나눴다. 이 행사는 박 부위원장이 시민 참여형 자원순환 문화 확산의 필요성을 지속적으로 제기해온 데 따라 마련된 대표 시민환경 프로그램이다. 행사가 펼쳐진 청계광장은 ▲자원순환 캠페인존 ▲에코 체험존 ▲에너지 놀이터존 ▲초록 무대존 등 네 개의 테마 구역에서 환경 인형극, 업사이클 공연, 에너지 체험놀이터, 폐장난감 교환소 등 다채로운 체험·놀이·공연 프로그램이 운영됐다. 시민들은 자원순환의 과정을 직접 보고, 듣고, 만들어보는 활동을 통해 새활용과 분리배출의 의미를 쉽고 재미있게 익혔으며, 자원순환이 일상의 작은 실천으로 자연스럽게 이어질 수 있음을 몸소 확인하는 시간을 가졌다. 박 부위원장은 축사를 통해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도시의 변화는 시민 한 사람의 작은 실천에서 시작된다”며 생활속 실천활동의 중요성을 되짚었다. 또한 “줍깅 활동, 생태교란종 제거, 한강공원 가꾸기, 새활용 프로그램 등 시민과 함께 한 모든 실천의 순간들이 큰 변화를 만들어왔
thumbnail - 박춘선 서울시의회 환경수자원위원회 부위원장, 자원순환 시민행사 ‘초록이의 지구여행’ 참석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