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노동개혁 사령탑, 이인제 추미애 첫 TV토론노사정 대타협 놓고 “역사적 첫걸음” vs “小타협도 안돼”
정부의 노동개혁 추진에 따라 노사정위원회가 합의한 대타협 결과를 놓고 여야 노동개혁기구 수장이 23일 마주앉아 격론을 주고받았다.
정연호 기자 tpgod@seoul.co.kr
23일 서울 광화문 세종문화회관에서 방송기자클럽 주최로 열린 TV 토론회에서 이인제 새누리당 노동시장선진화특위 위원장과 추미애 새정치민주연합 경제정의·노동민주화특위 위원장이 인사를 나누고 있다.
정연호 기자 tpgod@seoul.co.kr
정연호 기자 tpgod@seoul.co.kr
새누리당 노동시장선진화특별위원회 위원장인 이인제 최고위원과 새정치민주연합 경제정의·노동민주화특별위원회 위원장인 추미애 의원은 이날 오전 서울 세종문화회관에서 TV로 생중계되는 가운데 노동개혁을 주제로 토론을 위해 대좌했다.
이날 토론에선 저성과자·근무불량자 해고, 임금피크제 도입, 비정규직·파견근로 등 노동계의 광범위한 이슈에 대해 노사정위가 지난 13일 극적으로 합의한 대타협에 대한 평가부터 양쪽의 입장이 극명하게 갈렸다.
이 위원장은 “타결된 합의문은 역사적인 첫 걸음이라고 생각한다”며 “우리가 당면한 사회경제적 위기를 선제적으로 극복할 수 있는 중대한 의미가 있는 합의”라고 강조했다.
반면, 추 위원장은 “이 합의문은 헌법 질서를 흔드는 것이다. 이런 걸 행정지침으로 하겠다는 것은 법치국가에서 안 되는 것”이라며 “한국노총만 불러서 한 게 어떻게 대타협이냐. 소타협도 안 된다”고 깎아내렸다.
노사정 합의의 핵심으로 꼽히는 저성과자 등의 일반해고에 대해 이 위원장은 “(야당 등에서) ‘쉬운 해고’라고 하는데 전혀 그렇지 않다”며 “아주 신중하고 엄격하게 해고 절차와 기준을 마련해 사용자가 임의로 부당하게 해고하지 못하도록 하는 절차를 만드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추 위원장은 “우리나라는 근무의 객관적인 평가 시스템이 없다”며 “이 제도(일반해고)가 도입되면 윗사람의 비위를 못 맞추는 사람, 애를 낳고 업무에 복귀하거나 시부모가 아파 병가를 내는 여성근로자 등은 불안하다”고 반박했다.
노동개혁의 일환으로 새누리당이 당론 발의한 근로기준법·고용보험법·산재보험법·기간제근로자법·파견근로자법 개정안 등 ‘노동개혁 5대법안’에 대해서도 양측은 공방을 주고받았다.
이 위원장은 “노동개혁의 마지막 물꼬는 국회에서 터야 한다”며 정기국회 회기 내 법안이 처리돼야 한다고 역설했지만, 추 위원장은 “사내유보금이 설비투자 등 생산적 투자로 이어지는 개혁이 진짜 개혁”이라고 맞섰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