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는 7일 내년 총선 전 통합전당대회를 열자는 일부 주장에 대해 “첫째로 우리 당의 단합이 먼저라고 본다. 그 다음이 통합”이라고 말했다.
문 대표는 세계한인회장대회 행사에 참석한 뒤 기자들과 만나 “다음 총선 승리를 위해서 야권이 함께 통합해야 한다고 보고 통합을 하기 위한 방안으로 통합전대를 생각해볼 수 있다”면서 “다만 지금 그 논의의 시기가 조금 이르다”고 말했다. 이어 “통합의 대상들에게 아무런 의사타진이라든지, 합의 없이 먼저 통합전대를 얘기하는 것은 조금 시기가 이르다고 본다”고 덧붙였다. 당장 통합전대를 추진하기보다는 당 상황이 우선 안정될 필요성을 언급한 것으로 해석된다.
그는 선거구 획정 논의를 위해 필요하면 여야 대표 담판에 나설 수 있다고 언급한 데 대해 “선행합의가 조금 이행이 된다면, 그런 약속 같은 게 있어야 만나서 의논할 수 있는 것 아니냐”며 “만나서 합의해도 소용이 없다면 어떻게 만나서 논의할 수 있겠느냐”고 대답했다.
또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선출직공직자평가위원장에 조은 동국대 명예교수를 의결하지 못한 데 대해 “오늘 제대로 회의할 시간이 없었다”고 설명했다.
안석 기자 sartori@seoul.co.kr
문 대표는 세계한인회장대회 행사에 참석한 뒤 기자들과 만나 “다음 총선 승리를 위해서 야권이 함께 통합해야 한다고 보고 통합을 하기 위한 방안으로 통합전대를 생각해볼 수 있다”면서 “다만 지금 그 논의의 시기가 조금 이르다”고 말했다. 이어 “통합의 대상들에게 아무런 의사타진이라든지, 합의 없이 먼저 통합전대를 얘기하는 것은 조금 시기가 이르다고 본다”고 덧붙였다. 당장 통합전대를 추진하기보다는 당 상황이 우선 안정될 필요성을 언급한 것으로 해석된다.
그는 선거구 획정 논의를 위해 필요하면 여야 대표 담판에 나설 수 있다고 언급한 데 대해 “선행합의가 조금 이행이 된다면, 그런 약속 같은 게 있어야 만나서 의논할 수 있는 것 아니냐”며 “만나서 합의해도 소용이 없다면 어떻게 만나서 논의할 수 있겠느냐”고 대답했다.
또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선출직공직자평가위원장에 조은 동국대 명예교수를 의결하지 못한 데 대해 “오늘 제대로 회의할 시간이 없었다”고 설명했다.
안석 기자 sartori@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