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적십자 “또 만난다는 희망”…본회담 땐 설 추가 상봉 가능성
제20차 남북 이산가족 상봉 일정이 26일 마무리됐다. 이번 행사에서 남측 644명, 북측 329명 등 총 186가족은 어려운 기회를 얻어 60여년 만에 재회의 감격을 맛봤다. 일부 ‘잡음’에도 8·25남북합의 이행의 첫 단추인 상봉 행사가 대체로 순조롭게 끝나면서 남북 당국 간 회담에 대한 기대감은 더 커지고 있다. 하지만 대내외 변수 역시 무시할 순 없는 상황이다.현재까지 분위기는 나쁘지 않다. 리충복 북한 적십자중앙위원회 위원장은 이날 금강산호텔에서 남측 가족들에게 “마음 후련하게 돌아가시라. 또 만난다는 희망을 갖고”라며 추가 상봉의 가능성을 언급했다. 리 위원장은 전날에도 “북·남 관계 개선은 공화국의 일관한 입장”이라며 “상시 접촉과 편지교환 등 문제를 협의할 것”이라고 밝혀 이날 발언이 단순한 인사치레로만 들리지 않는 상황이다.
북한이 이번 행사에 상당한 정성을 들였다는 건 당국자들의 공통된 전언이다. 특히 북한은 지난 24일 서해북방한계선(NLL)을 침범한 북한 어선단속정에 대한 우리 군의 경고사격을 두고 반발했지만 수위 조절에 신경 쓰는 모습이었다. 대남기구인 조국평화통일위원회 대변인이 기자와의 문답 차원에서 언급한 것이 전부였다.
정부 안팎에서는 최근 민간교류 역시 활발해지는 상황에 적십자 본회담이 열리면 내년 설 계기로 추가 상봉이 가능할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물론 북한이 요구하는 금강산관광 재개와 더불어 근본적인 이산가족 해법 논의, 경원선 복원 등 남북 이슈를 폭넓게 다루기 위해서는 적십자 채널보다는 당국 간 회담이 더 요긴하다. 한 전문가는 “두 채널을 동시 가동할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그러나 섣불리 회담 시기를 예측하기에는 변수가 적지 않다. 다음달 초 한·중·일 정상회담에서 북핵 문제를 포함한 공동선언 채택이 예상돼 그 내용에 따라 북한의 태도가 바뀔 수 있다. 또 여전히 장거리 로켓 발사 ‘카드’를 든 북한이 최근 미국에 평화협정 논의를 주장한 만큼 북·미 관계도 간과할 수 없다. 김용현 동국대 북한학과 교수는 “당국 간 회담을 두고는 우리 정부도 주판알을 튕길 것이기에 국정교과서 논란 등 국내 상황이 어떻게 변할지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강병철 기자 bckang@seoul.co.kr
2015-10-27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