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입 닫은 孫

다시 입 닫은 孫

이범수 기자
이범수 기자
입력 2015-11-20 23:34
수정 2015-11-21 02:0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강진 찾은 기자에게 “이제 안 만나요 허허”… 일거수일투족 ‘정계복귀설’에 부담 느낀 듯

주류·비주류 갈등으로 새정치민주연합의 지지율 반등 조짐이 보이지 않을수록 여의도의 시선은 전남 강진으로 향한다. 백련사 인근 토담집에서 칩거한 지 1년 4개월째인 손학규(얼굴) 전 상임고문이 ‘역할’을 해야 한다는 주장이 끊임없이 나오는 것이다. 특히 지난 4일 카자흐스탄 특강 후 귀국길에 역사 교과서 국정화 등의 현안을 언급하면서 정계복귀설은 더 힘을 받았다. 앞서 이낙연 전남지사의 주도로 손학규계 전·현직 의원들의 대규모 회동도 열렸던 터다.

이미지 확대
손학규 새정치민주연합 전 상임고문이 머물고 있는 전남 강진 백련사 인근 토담집 앞에 ‘묵언 수행 중’이라고 쓰인 팻말이 놓여 있다.
손학규 새정치민주연합 전 상임고문이 머물고 있는 전남 강진 백련사 인근 토담집 앞에 ‘묵언 수행 중’이라고 쓰인 팻말이 놓여 있다.


초겨울비가 흩뿌리던 19일 강진을 찾았다. 1973년 한 스님이 수행을 위해 만들었다 버려진 이 집은 지나온 세월만큼 낡아 보였다. 안경을 끼고 책을 읽던 손 전 고문은 기자를 보자 편치 않은 기색을 보이며 “어쩌나. 이제 기자들은 안 만나는데…”라고 했다. 꾸준히 당내에서 거론되는 ‘손학규 역할론’을 요리조리 물었지만 요지부동이었다. “허허” 웃거나 먼 산만 바라봤다. 그저 “미안하다. 이렇게 박대해서…”라며 등 떠밀듯 배웅했다. 점심 공양 뒤 다시 집을 찾아갔지만 부인 이윤영씨가 “오늘은 하실 말씀이 없으시니 돌아가세요”라고 말했다.

집 앞에 놓인 ‘묵언 수행 중’이라는 팻말처럼 외부 접촉을 기피하는 것은 최근 일거수일투족이 정계복귀설로 연결되는 데 부담을 느낀 때문으로 보인다. 2007년부터 손 전 고문을 보좌해 온 측근은 “그냥 뱉은 말도 정치적으로 해석되다 보니 정치인이나 기자들이 온다고 하면 아예 자리를 비우신다”고 귀띔했다. 실제로 손학규계인 양승조 의원도 최근 방문 의사를 타진했다가 ‘지금은 때가 아닌 것 같다’는 이야기를 듣고 고민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신세를 지고 있는 입장에서 사찰이 외부인으로 북적이는 것도 고역이다. 한 측근은 “공부하겠다고 내려와 있으니 (사찰에서) 품어 주긴 한다”면서도 “오늘도 지지자 수십명이 왔다 갔다. 사찰에서 불편하다는 말이 나온다”고 말했다.

‘묵언 수행’은 언제쯤 끝나게 될까. 2012년 손학규 대선 경선캠프 대변인을 지낸 김유정 전 의원은 “총선이 끝날 때까지는 (움직일 가능성이) 전혀 없고 내년 가을쯤은 돼야 하지 않을까 싶다”고 답했다.

글 사진 강진 이범수 기자 bulse46@seoul.co.kr

2015-11-21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