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론 동향 민감한 수도권 10석 늘어나 전체 판세 좌우 영호남 2석씩 줄고, 1곳 주는 강원은 내부 조정 ‘복잡’‘253석’으로 갈 경우 통폐합 대상 농어촌 최대 8석 구제
광주는 현행 8석을 유지하고, 전남·전북은 각각 현행 11석에서 1석씩 줄어든 10석이 된다.광주는 하한인구 미달인 구도심의 동구 재편 가능성이 거론된다.
전북은 김제·완주가 해체돼 고창·부안, 무주·진안·장수·임실 등 2곳과 합쳐치는 시나리오가 거론된다. 그러나 이 경우 5개 자치구를 한 지역구로 묶기 때문에 무주·진안·장수·임실을 쪼개는 등 주변 지역구의 전반적인 조정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전남은 장흥·강진·영암이 쪼개져 고흥·보성, 무안·신안 등 주변 지역에 재편되는 안이 검토되고 있다.
또 인구 상한 초과로 순천·곡성에서 곡성이 분리돼 광양·구례와 합쳐지는 ‘조정’도 있을 전망이다.
◇제주 3석 유지…강원 ‘내부사정 복잡’ = 제주(3석)는 현행 유지가 확실하다.
강원도는 현행 9석에서 1석이 줄어든 8석이 되는데, 인구 하한 미달 지역구가 많아 조정 시나리오도 여러 방식이 가능하다.
현재 강원도에서 인구 하한 미달로 선거구 조정 대상인 지역구는 홍천·횡성, 철원·화천·양구·인제, 속초·고성·양양 등 3곳이다.
하지만 자치 시·군·구 분할금지의 원칙을 지키고, 면적이 과도하게 넓어지거나 기형적 모양의 선거구가 탄생하지 않으려면 조정 대상이 아닌 지역구들까지 연쇄적으로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는 관측이 나온다.
강원에서 1석만 줄이려면 홍천·횡성을 ‘해체’하고, 속초·고성·양양, 태백·영월·평창·정선, 동해·삼척, 철원·화천·양구·인제 4곳을 뒤섞어 총 5곳을 4곳으로 줄이는 시나리오 등이 거론된다.
◇여야, 수도권 승패에 촉각 = 여야 정치권은 각 당의 강세 지역인 영·호남 의석수 감소의 균형을 맞춰내고 나서도 여전히 서로에게 ‘불리한’ 시나리오라고 주장하고 있다.
의석수 증감 결과에 대해 각자 다른 해석을 내놓고 있는 것이다.
새누리당 관계자는 “경기도에서 의석수가 늘어나는 대부분 지역이 야당 지지성향인 30∼40대 인구가 대거 유입된 신도시라 야권이 선거연대에 나설 가능성이 크다”면서 “영·호남이 똑같이 준다지만 엄밀히 말하면 강원에서 1석이 줄어드는 것은 결국 새누리당에 큰 손실”이라고 말했다.
새정치민주연합 관계자는 “기본적으로 지역구 증가 자체가 여당에 유리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면서 “수도권 민심은 선거를 치러보기 전까지는 판세가 ‘깜깜이’인 반면 여당 강세인 농어촌이 대거 살아나는 ‘253안’이 야당에게 유리하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라고 반박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