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위서 비대위 구성 ‘거부’ 주장도 나와 정진석 “친박계만 쓰는 것은 국민 배신”
새누리당 친박(친박근혜)계가 단단히 화가 났다.새누리당 정진석 원내대표가 15일 발표한 비상대책위 위원이나 혁신위원장 모두 강성 비박(비박근혜)계로 채워졌기 때문이다.
친박계에서는 믿었던 정 원내대표로부터 한 방 맞았다는 분위기가 팽배하다. 친박계는 지난 3일 원내대표 경선에서 ‘자숙론’을 내세워 ‘친박 주자’인 유기준 의원을 주저 앉히며 암묵적으로 정 원내대표를 밀었다.
경선전까지만 해도 당 안팎에선 친박계가 비박·중립 성향의 원내대표를 밀고, 대신 전당대회에서 당권을 장악함으로써 박근혜 정부 임기 말 국정 협력을 이끌고 차기 대선을 준비하려 한다는 추측이 나돌기도 했다.
이 때문에 정 원내대표의 비대위 인선 등을 겨냥한 친박계의 반발이 원내대표 경선 후 ‘도로 친박당’이라는 비판이 일자 이를 희석시키기 위해 ‘할리우드 액션’을 하는 것 아니냐는 해석도 있다.
하지만 당내에서도 이런 해석에 대해 비대위·혁신위 인선이 너무 파격적인 측면이 있다는 점을 인정한다.
친박계 한 의원은 16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협치를 주장하던 정 원내대표가 완장 찬 것처럼 비대위·혁신위 인선을 하며 독단적으로 운영하고 있다”면서 “강성 비박계로만 채운 것은 당의 주도권을 쥐겠다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홍문종 의원 역시 YTN라디오와의 인터뷰에서 “객관성을 담보로 하는 비대위가 될 수 있느냐에 대해 우려를 많이 표시하고 있다”면서 “인선 전에 몇몇 분들과는 상의했으면 좋았는데 정 원내대표가 고독한 결정을 내린 것 같다”고 지적했다.
점잖게 얘기했지만 당의 주류인 친박계와 상의 없이 독단적 결정을 내렸다는 불편한 심기를 우회적으로 드러낸 것이다.
특히 공천 심사에 불만을 제기하고 탈당 후 당선된 유승민 의원과 가깝다는 평가를 받는 김세연 의원, 이혜훈 당선인을 비대위원으로 포함시킨 배경에 강한 의구심을 품고 있다.
친박계가 그토록 반대했던 유 의원의 복당 문제를 비대위가 당 지도부 대행 자격으로 건드릴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친박계에선 현재 비대위 구조라면 딱히 저지할 방법이 없는 게 현실이라는 우려도 제기된다.
친박계의 조직적 반발 움직임도 감지된다. 일단 재선급 의원들이 이날 중 정 원내대표와 면담을 추진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함께 일부 친박 강경파는 이번 인선 결과를 놓고 “쿠데타”라는 격한 표현까지 동원하며 비대위원장을 포함한 비대위 구성을 추인하는 전국위에서 이를 비토(거부)해야 한다는 주장도 내놓고 있다.
오는 17일 예정된 전국위는 원내외 당협위원장, 시·도의원, 중앙위·여성위·청년위 추천 위원 등 1천명으로 구성돼 친박계가 수적으로 우위를 점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정 원내대표나 비박계는 가당치도 않다며 일축하고 있다.
정 원내대표는 “원내대표 경선 때 중도적 입장에서 균형 감각을 갖고 공정하게 하겠다고 발언하고 지지를 호소했는데, 그러고 나서 친박계만 뽑아 쓸 수는 없지 않으냐”며 “그건 국민에 대한 배신”이라고 반박했다.
정 원내대표는 또 “앞으로도 엄정하게 중립적인 입장에서 원내대표이자 당 대표 권한대행으로서 임무를 수행할 것”이라며 “어느 한 쪽에 경도된 모습은 보지 못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비박계 김성태 의원은 SBS라디오에 출연, “그동안 외부에서 비대위원장을 모셔와서 당을 혁신시켜야 한다는 사람들을 대거 비대위 위원으로 내정했다”면서 “정 원내대표가 사실상 승부수를 던진 것 같다”고 평가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