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황교안 국무총리
21일 오전 서울 삼청동 총리공관에서 열린 고위 당정청 회의에서 황교안 국무총리가 발언하고 있다. 2016. 09. 21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이날 열린 대정부질문에서 권미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역사를 돈으로 바꿀 수는 없다. 12.28 합의를 원천 무효화 해야 한다고 박근혜 대통령에게 건의할 생각은 없나”라고 묻자, 황 총리는 “일본 정부의 책임을 최초로 인정한 협의다. 아베 총리가 사죄를 하는 이런 협의”라고 답했다.
권 의원이 “일본이 소녀상 이전을 합의했다고 주장하는 데 왜 항의하지 않느냐”고 묻자, 황 총리는 “합의 정신을 훼손하지 말라고 (항의)하고 있다”고 답했다. 이어 황 총리는 “위안부 합의의 내용은 관련 단체와의 협의 등을 통해 적절히 해결하도록 노력한다는 것”이라면서 “시급성 때문에 이렇게 합의했지만 (소녀상 이전이) 합의 내용은 아니다. 정부 입장은 분명하다”고 강조했다.
황 총리는 이어 “돈의 성격이 얼마를 주고 받고 그런 게 아니라 일본 정부의 책임과 사죄를 이행하는 조치로 집행한 것”이라면서 “지난해 합의 이후 48분이 살아계셨는데 그 사이에 8분 돌아가셔 40분이 남았다. 하루라도 빨리 이 분들의 마음을 치유 받고 명예가 회복될 수 있도록 해야지 않겠나”라면서 치유 재단 설립에 대한 생각을 밝혔다.
이에 유은혜 더민주 의원은 “마음의 치유가 되냐, 지금” 이라며 질타했다. 권 의원 또한 “황 총리와 제가 가진 생각 중에 돈의 성격이 중요하다는게 일치한다”면서 “배상의 합당한 돈의 성격을 말하는 것인데 일본 정부는 배상이라고 한 적이 없다”고 꼬집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