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기석 “장시호도 연세대 입학특혜 의혹”…연대 “사실무근”

송기석 “장시호도 연세대 입학특혜 의혹”…연대 “사실무근”

입력 2016-11-09 15:06
수정 2016-11-09 17:1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1998년 입시요강에 ‘기타’ 종목 추가해 장시호 합격 가능해져”…연세대 “그 전에도 개인종목서 선발…사실무근” 반박

최순실 조카 장시호
최순실 조카 장시호
최순실 씨의 딸 정유라 씨에 이어 조카인 장시호(개명 전 장유진)씨도 대학입학 과정에서 특혜를 받았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국회 교육문화체육위원회 소속 송기석 의원은 9일 한국대학교육협의회에서 받은 ‘1996∼1998학년도 전국 대학 신입생 모집요강’ 자료를 분석한 결과, 장씨가 1998년 승마 특기생으로 연세대에 입학하던 때에 학교 측에서 규정을 변경한 정황이 드러났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송 의원이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연세대의 1996학년도와 1997학년도 입시요강에는 특기생 선발 종목이 축구, 농구, 야구, 빙구(아이스하키), 럭비 등 5종목으로만 나와 있다.

그러나 장씨가 입학한 1998학년도 요강에는 선발종목에 ‘기타’라는 항목이 추가됐다.

이 때문에 승마선수 출신인 장씨의 입학이 가능해졌다는 것이 송 의원 측의 설명이다.

또 체육특기생 지원 자격은 ‘전국규모대회에서 8강 이상 입상한 선수 또는 대한체육회에서 우수선수로 추천된 자 가운데 1998년 수능 성적이 60점 이상인 자’라고 규정돼, 다른 대학보다 느슨한 기준이 적용됐다고 송 의원 측은 주장했다.

이와 관련해 송 의원은 연세대에 당시 입시요강 개정을 의결한 교무위원회 회의록을 제출할 것을 요청했다.

송 의원은 “정씨가 이화여대에 입학할 때와 유사한 특혜가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며 “철저히 따져봐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연세대는 장씨 이전에도 개인종목에서 체육특기생을 선발한 바 있다며 송 의원 주장은 사실무근이라고 반박했다.

연세대는 “1998년 이전에도 개인종목 선수를 선발하는 기준이 있었으며 그에 따라 1991년, 1993년, 1995년에 개인종목 선수를 선발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의혹이 제기된 1998학년도 특기생 선발 시기인 1997년은 박근혜 대통령이 국회의원이 아니었던 때로서, 최순실 씨나 최순득 씨가 연세대 입시에 최근 문제된 바와 같은 영향력을 미쳤다고 주장하는 것은 전혀 상식적이지 않다”고 말했다.

이숙자 서울시의회 운영위원장, 방배카페골목 방문… “골목상권, 지속 가능한 브랜드화 필요”

이숙자 운영위원장(대한민국 운영위원장협의회장, 국민의힘 서초2)은 지난 15일 방배카페골목에서 진행된 상권 활성화 축제 ‘방가방카’에 참석해 주민과 상인들의 의견을 청취하는 현장 소통 활동을 진행했다. 방배카페골목은 이동과 휴식, 만남 등이 이뤄지는 생활권 골목으로 다양한 연령층이 이용하는 지역 상권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는 공간이다. 상인들과 주민들은 골목을 이용하며 느낀 점과 상권이 지역사회에서 수행하는 역할에 대해 의견을 전했다. 이와 함께 상권 환경 개선과 이용 편의성에 관한 의견도 이어지며 다양한 의견이 공유됐다. ‘방가방카’ 축제가 열린 방배카페골목은 1970~80년대 시민들에게 널리 알려졌던 장소로, 현재도 축제·문화행사·일상 방문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람들이 찾는 생활권 골목으로 활용되고 있다. 세대별로 공간을 바라보는 시각은 다르지만 꾸준한 이용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는 점에서 지역 내 상권으로서의 역할이 확인된다. 이 위원장은 “방배카페골목은 70~80년대 많은 시민이 찾던 공간이었으며, 서울시 상권분석에서도 인사동·성수동과 함께 방문이 많은 지역으로 나타난다”고 설명했다. 이어 “옛 명성을 되살리기 위해서는 서울시와 서초구의 협력이 중요
thumbnail - 이숙자 서울시의회 운영위원장, 방배카페골목 방문… “골목상권, 지속 가능한 브랜드화 필요”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