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도입국 청소년 10명中 3명 학교 포기…40%는 차별경험”

“중도입국 청소년 10명中 3명 학교 포기…40%는 차별경험”

입력 2017-01-18 09:15
수정 2017-01-18 09:1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외국인 부모를 따라 한국에 온 중도입국 청소년 가운데 10명 중 3명은 언어 문제 등으로 학교에 다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배상률 부연구위원이 펴낸 ‘중도입국 청소년 실태 및 자립지원 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7∼10월 중도입국 청소년 577명을 설문 조사한 결과 학교에 다니지 않는 청소년이 173명(30%)으로 집계됐다.

학교에 다니지 않는 이유로는 ‘한국어 실력이 충분하지 못해서’(24.6%), ‘수업 내용을 따라가기 어려워서’(9.3%), ‘비자 문제’(5.8%), ‘내 특기를 살리려고’(4.9%) 등을 꼽았다.

중도입국 청소년 중 최근 1년간 직장 근무나 아르바이트를 한 경험이 있는 비율은 31.4%에 달했다. 이들은 한주에 평균 3.57일을 일하고, 하루 평균 8.33시간 근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르바이트를 하는 이유로는 ‘내 생활비를 벌기 위해’(51.6%)라는 답이 가장 많았고, ‘원하는 것을 구입하려고’(15.1%), ‘취업 스펙을 쌓기 위해’(10.9%) 등으로 뒤를 이었다.

최근 6개월 동안 외모나 언어가 다르다는 이유 등으로 차별받은 경험이 있다는 청소년은 39%에 달했다.

중도입국 청소년이 답한 삶의 만족도는 입국 전 10점 만점에 6.94점이었으나 한국에 와서 6.89점으로 소폭 내려간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진로 계획에 대해선 ‘상급학교 진학’을 꼽은 청소년이 27.9%로 가장 많았고, 취업(18.9%), 계획 없음 (16.3)% 등으로 뒤를 이었다.

한국에서 계속 거주하기를 희망한다는 답은 47.4%로 다른 나라 거주를 희망하는 비율(37.8%)보다 높았다.

중도입국 청소년이 가장 필요로 하는 지원 정책으로는 수준별 한국어 교육(39.7%)을 가장 많이 꼽았고, 학교 교과목 지도(11%), 직업기술 훈련(10.8%) 등으로 뒤를 이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