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북도 도민들이 수해로 시름하는 가운데 외유성 해외연수를 떠난 김학철 충북도의원. 그는 조기 귀국한 도의원들과 달리 이틀 늦게 한국에 들어왔다.
김학철 충북도의원 페이스북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김학철 충북도의원 페이스북
비행기 표가 없다는 것이 그 이유였다. 그러나 알려진 것과 달리 김학철 의원은 프랑스의 유명 관광지 마르세유까지 내려가 일정을 마친 것으로 드러났다. 김 도의원은 지난 22일 한국에 들어온 이후 24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A4용지 7장에 이르는 장문의 해명 글을 올렸다.
그런데 위치정보가 ‘프로방스 알프 코트 다쥐르’로 기록돼 있다. 프랑스 남부지역으로 김 도의원 일행이 입국한 프랑스의 파리에서 약 776km, 차로는 7시간 30분 정도 가야하는 곳이다. 한국에서 쓴 게시물이지만 직전까지 머물렀던 지역이 위치정보로 뜬 것이다. 이 지역은 마르세유가 있어 유명한 관광지로 분류된다.
현지에서 김학철 의원과 박한범 의원 등을 수행한 도의회 관계자는 한 언론을 통해 “귀국 직전 마르세유에 있던 것은 맞다”며 “이미 숙소가 예정돼 있고 이를 바꾸려면 추가 비용이 들어 짜여진 일정대로 이동해 마르세유까지 갔다”고 해명했다.
“국민은 레밍 같다”고 했다가 논란이 된 김학철 도의원이 귀국 과정에서도 거짓 해명을 한 것으로 확인되면서 비난의 화살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15년 만에 단행된 카카오톡 대규모 개편 이후 사용자들의 불만이 폭증하고 있다. 애플리케이션을 내려받을 수 있는 구글 플레이스토어와 애플 앱스토어에는 “역대 최악의 업데이트”라는 혹평과 함께 별점 1점 리뷰가 줄줄이 올라왔고, 일부 이용자들은 업데이트를 강제로 되돌려야 한다며 항의하기도 했다. 여론이 악화되자 카카오는 개선안 카드를 꺼냈다. 이번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