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김정은 성명’ 이후 엿새간 470만명 입대·재입대 탄원 주장

北, ‘김정은 성명’ 이후 엿새간 470만명 입대·재입대 탄원 주장

입력 2017-09-28 10:30
수정 2017-09-28 10:3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노동신문 “수령보위 성전 떨쳐나서” 선전…위기의식 고취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28일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의 대미 비난 성명 이후 엿새 동안 학생과 근로자 470만여 명이 군 입대와 재입대를 ‘탄원’했다고 주장했다.

신문은 이날 “미제를 지구 상에서 완전히 쓸어버릴 멸적의 의지를 안고 온 나라 인민이 수령보위, 사회주의 수호전의 성전에 산악같이 떨쳐나서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신문은 “성명 발표 후 3일 동안에만도 평안북도에서 12만여 명, 황해남도에서 9만 7천여 명의 근로 청년들이 인민군대 입대, 복대(재입대)를 탄원(했다)”며 “대고조 전투장 마다에서 청년들의 탄원 열풍은 날을 따라 고조되었다”고 선전했다.

입대·재입대를 탄원한 여성들도 날로 늘어나 122만여 명에 이른다고 신문은 덧붙였다.

북한은 외부와의 대립 수위가 높아질 때면 청년들이 입대와 재입대를 자원했다고 대내외에 선전하며 주민들의 위기의식을 끌어올리고 체제 결속을 과시해 왔다.

노동신문은 지난달 7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북결의를 비난하며 ‘정의의 행동’을 선포한 정부성명 발표 이후에도 사흘 만에 347만5천 명이 입대·재입대를 자원했다고 주장한 바 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