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평도포격 7년] “불 끄고 포탄 나르고…정신없이 싸웠죠”

[연평도포격 7년] “불 끄고 포탄 나르고…정신없이 싸웠죠”

강주리 기자
강주리 기자
입력 2017-11-22 07:06
수정 2017-11-22 07:0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北도발 당시 대응사격한 포 7중대 소속 추윤도 상사 인터뷰

지금으로부터 7년 전인 2010년 11월 23일 오후 2시 30분 무렵.

서해 최전방 연평도 주둔 해병대 연평부대의 포 7중대는 K-9 자주포 6문으로 월례 사격훈련을 하고 있었다.

포 7중대 정비 담당관으로, 첫 번째 K-9 자주포인 1포의 사격통제를 하던 추윤도(43) 상사는 부대의 2포에 문제가 생겼다는 통보를 무전기로 받고 그곳으로 뛰어갔다.

추 상사가 2포에 도착하자마자 ‘꽝’하며 귀를 찢는 듯한 굉음이 바로 옆에서 울리더니 20∼30m 떨어진 3포에 불이 붙었다. 사격진지 주변에도 몇 발의 포탄이 떨어졌다. 앞을 가리는 먼지와 매캐한 포연 속에서 추 상사는 북방한계선(NLL) 저편 북한군의 공격이라는 것을 직감했다.

추 상사가 평생 잊을 수 없는 북한의 연평도 포격도발은 이렇게 시작됐다.

추 상사는 연평도 포격도발 7년을 앞두고 지난 20일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긴박했던 당시를 회고했다.

생사를 오가는 상황이었지만, 평소 훈련을 게을리하지 않은 포 7중대원들은 북한군이 포격을 시작한 지 13분 만에 대응사격에 나섰다.

추 상사가 가장 먼저 한 것은 소화기로 3포의 불을 끄는 작업이었다. 3포 뒤로 수m 떨어진 곳에 포탄과 장약이 쌓여 있어 불이 번질 경우 엄청난 폭발이 발생할 수 있었다.

3포의 불을 끈 추 상사는 진지 주변에 땅을 파 만들어놓은 통로를 따라 2포로 돌아가다가 대응사격 중인 4포 뒤에서 중대원이 손으로 포탄을 나르는 것을 보고 그 일에 동참했다. 한 발의 포탄이라도 더 빨리 적의 진지로 날려 보내야겠다는 생각뿐이었다.

약 30㎏의 묵직한 K-9 포탄 10여발을 손으로 나른 추 상사는 한 발을 떨어뜨리는 바람에 발을 다쳤지만, 아픔을 느낄 겨를조차 없었다.

1포에도 문제가 생겼다는 통보를 받고 통로를 따라 돌아가던 추 상사는 1포 뒤편에 북한군 포탄이 떨어져 큰불이 난 것을 보고 중대원들과 화재 진압을 해야 했다. 소화기뿐 아니라 배수로에 있는 물까지 퍼 닥치는 대로 불을 껐다. 포탄과 장약의 폭발을 막기 위해서였다.

북한군은 연평도를 겨냥해 170여발을 발사했고, 포 7중대는 대응사격으로 북한군 무도와 개머리 진지에 80여발을 쐈다.

북한군의 무차별 포격으로 연평부대 서정우 하사와 문광욱 일병이 전사하고 민간인 2명이 숨졌다. 포 7중대의 대응사격으로 북한군도 상당한 인명 피해를 본 것으로 추정된다.

전투가 끝난 다음에야 추 상사는 포탄을 떨어뜨린 발의 고통을 느꼈다. 발가락 골절로 피멍이 들었고 퉁퉁 부어올랐다.

연평도에 있는 가족도 생각났다. 추 상사의 부인과 초등학생 딸 둘은 당시 연평부대 관사에 살고 있었다.

가족이 다치지나 않았을까 하는 걱정에 지휘관의 허락을 받아 관사로 뛰어간 추 상사는 대피호에서 부인과 딸이 무사한 것을 보고 부둥켜안고 울었다.

추 상사의 첫째 딸은 올해 대학수학능력시험을 볼 나이가 됐다. 경북 포항 지진으로 시험일이 연기돼 공교롭게도 평생 잊을 수 없는 11월 23일 수능 시험을 보게 됐다.

지금은 해병대 2사단에서 작전지원 담당관의 임무를 수행 중인 추 상사는 그날 국립대전현충원에서 해병대사령관 주관으로 거행되는 연평도 포격전 7주기 추모행사에 참석한다.

대전현충원에는 연평도 포격도발로 희생된 서정우 하사와 문광욱 일병이 잠들어 있다. 이곳에서 추 상사는 오랜만에 포 7중대 전우들도 만날 계획이다.

추 상사는 “연평도 포격도발은 6·25 전쟁 이후 북한군이 처음으로 대한민국에 포격을 한 사건”이라며 “온 국민이 전사자를 추모하고 국가 수호 의지를 다졌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