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노동신문, 북미정상회담 보도…김정은도, 트럼프도 ‘스마일’

北노동신문, 북미정상회담 보도…김정은도, 트럼프도 ‘스마일’

김태이 기자
입력 2019-03-01 09:52
수정 2019-03-01 09:5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회담 결렬’ 언급 없이 이틀째 크게 보도…1∼2명에 기사 싣고 사진 13장 배치

노동신문, 1∼2면에 북미정상회담 보도…‘결렬’은 언급 없어
노동신문, 1∼2면에 북미정상회담 보도…‘결렬’은 언급 없어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1일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린 북미정상회담 소식을 1∼2면에 걸쳐 보도했다. 신문은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건설적인 대화를 나눴고, 생산적인 대화를 이어나가기로 했다고 밝혔지만 전날 양측이 합의문에 서명하지 못한 채 회담이 결렬됐다는 언급은 하지 않았다. 2019.3.1
연합뉴스
노동신문, 1∼2면에 북미정상회담 보도…‘결렬’은 언급 없어
노동신문, 1∼2면에 북미정상회담 보도…‘결렬’은 언급 없어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1일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린 북미정상회담 소식을 1∼2면에 걸쳐 보도했다. 신문은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건설적인 대화를 나눴고, 생산적인 대화를 이어나가기로 했다고 밝혔지만 전날 양측이 합의문에 서명하지 못한 채 회담이 결렬됐다는 언급은 하지 않았다. 2019.3.1
연합뉴스
제2차 북미 정상회담이 합의에 이르지 못하고 결렬됐지만, 북한은 1일 이를 전혀 언급하지 않은 채 회담의 긍정적인 측면만 앞세워 전했다.

대외적으로는 미국과 대화를 계속할 의지를 내보이는 한편, 안으로는 회담 실패에 따라 자칫 명분이 약해질 수 있는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비핵화 노선에 대해 주민들의 결속을 다지려는 의미로 풀이된다.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이날 전체 6면 중 1∼2면에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간 정상회담 사진 13장을 싣고 베트남 하노이에서 전날 진행된 회담에 대해 상세히 보도했다.

전날 1∼2면에 총 17장의 회담 사진을 싣고 밝고 긍정적인 분위기 중심의 사진들로 편집해 보도한 것과 크게 다르지 않다.

이날 신문도 대부분이 두 정상의 회담 사진으로 채워졌다. 1면에는 전날 진행된 북미 단독정상회담 사진 4장이 실렸는데 두 정상이 악수로 첫인사를 나누는 장면부터 원탁 회담을 하는 장면까지 시종일관 미소를 띤 모습들로 채워졌다.

이어지는 2면에는 김 위원장과 트럼프 대통령이 단독회담 직후 회담장인 하노이 메트로폴 호텔에서 4분간 진행한 정원 산책 모습과 곧이어 진행된 확대회담 등 사진 9장이 실렸다.

김 위원장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산책 중 마주 보기도 하고 손동작을 하기도 하며 적극적으로 대화를 하는 모습이 담겼다.

확대회담에서는 북측에서 김영철 노동당 부위원장과 리용호 외무상 등 2명이, 미국 측에서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과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보좌관, 믹 멀베이니 백악관 비서실장 대행 등 3명이 배석한 가운데 양측 참석자들이 테이블에 손을 얹고 밝은 표정으로 회의를 하고 있다.

김 위원장이 치아를 드러내거나 붉게 상기한 얼굴로 크게 웃는 모습이 특히 눈에 띈다.

노동신문은 김 위원장이 트럼프 대통령에 대해 “이번 상봉과 회담의 성과를 위해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인데 대해 사의를 표하고 새로운 상봉을 약속”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이번 회담이 “조미관계를 두 나라 인민의 이익에 맞게 발전시키며 조선반도와 지역, 세계의 평화와 안전에 이바지하는 의미 있는 계기”라고 평가했다.

앞서 조선중앙통신과 조선중앙방송도 같은 내용을 보도했다.

이런 보도는 김 위원장과 트럼프 대통령이 예정된 오찬을 취소하고 긴 회의를 했지만 결국 합의문 서명도 하지 못하고 회담이 결렬된 현실과는 ‘온도 차’가 있다.

더구나 북한은 회담 결렬 후 리용호 외무상과 최선희 부상의 새벽 기자회견을 통해 “(김 위원장이) 조미 거래 의욕 잃지 않았나 하는 느낌을 받았다”거나 “미국 측이 이번에 받아들이지 않은 것은 천재일우의 기회를 놓친 것이나 같다”는 등의 평가를 해 긍정적인 평가 일색인 북한 보도는 이질감까지 느껴진다.

이와 관련해 북한이 미국과의 대화 가능성을 닫지 않고 앞으로도 협상을 계속해나갈 뜻을 대외적으로 나타낸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