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재철 “정부, 3년간 일본제품 1270억원 사들여”

심재철 “정부, 3년간 일본제품 1270억원 사들여”

오달란 기자
오달란 기자
입력 2019-09-29 11:18
수정 2019-09-29 11:1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수출규제 이후인 7~8월에도 1억 5070만원 구매
이미지 확대
공무원노조 일본 불매운동 동참
공무원노조 일본 불매운동 동참 대한민국공무원노동조합총연맹 관계자들이 6일 서울 종로구 옛 일본대사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기술제국주의 전범국가 일본 정부을 규탄하고 있다. 2019.8.6/뉴스1
일본의 수출보복 이후 일본제품 불매운동이 벌어진 가운데 정부가 최근 3년간 1270억원 어치의 일본제품을 구매한 것으로 파악됐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심재철 자유한국당 의원이 조달청에서 제출받은 ‘정부 부처의 일본제품 조달현황’ 자료에 따르면 2017년부터 2019년 8월까지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의 일본제품 구매액은 1269억 5692만원이다.

정부와 지자체, 공공기관의 일본제품 구매액은 2017년 422억 6658만원에서 2018년 602억 2740만원으로 늘었다. 올해는 8월까지 244억 6294만원이다.

심 의원은 특히 일본의 수출규제 조치로 인해 ‘일본제품 불매운동’이 확산한 올해 7월과 8월에도 정부와 지자체는 1억 5070만원어치의 일본제품을 구매했다고 지적했다.

이 기간 16개 정부 부처는 일본제품 8100만원어치를 구매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매액이 가장 많은 곳은 경찰청(3201만원)이었으며, 산업통상자원부(1430만원), 국방부(952만원)가 뒤를 이었다.

광역자치단체 중에는 서울시(5294만원), 강원도(780만원), 경기도(726만원), 세종시(110만원) 등에서 일본제품 구매 내역이 있었다.

심 의원은 “정부 부처와 지자체, 공공기관이 구매한 일본제품은 특수한 기관을 제외하면 대부분 사무용 제품인 것으로 나타났다”며 “일본의 경제제재로 인해 국민들이 자발적으로 일본제품 불매운동을 벌이고 있는 와중에 정부가 일본제품을 구매한 것은 국민에 대한 배신행위”라고 비난했다.

정지웅 서울시의원 “북아현 3구역의 원활한 추진 위해 건축심의부터 다시 받아야”

서울시의회 정지웅 의원(서대문구1·국민의힘)이 북아현 3구역 재개발 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관련법에 따라 건축심의부터 다시 준비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는 북아현 3구역 재개발에 대한 건축심의 효력이 상실됐기 때문이다. 건축법 제11조 제10항에 따르면 건축심의 결과를 통지받은 날부터 2년 이내에 건축허가를 신청하지 않으면 건축심의는 효력을 상실한다. 조합은 2023년 7월 11일 건축심의 완료를 통지받았다. 조합은 건축심의 완료 이후인 2023년 11월 30일 서대문구에 사업시행계획 변경인가를 신청했으나, 서대문구는 올해 5월 20일 조합에 이를 반려 통보했다. 서대문구는 사업시행계획서에 기재된 사업 기간이 총회 결의와 상이한 점을 문제로 봤다. 조합은 사업시행계획 변경인가가 반려되자 건축심의 유효기간 등 법적 검토를 하지 않고 서울시 행정심판위원회에 행정심판을 제기했다. 서대문구청의 반려 결정을 취소하고 인가 처분을 해달라는 취지였다. 그러나 서울시 행정심판위원회는 최종적으로 서대문구의 반려 처분이 정당하다고 판단했다. 정비 업계에 따르면 조합 측은 사업시행계획 변경인가를 다시 신청할 계획이다. 하지만 정 의원은 현행법상 북아현 3구역 재개발의 건축
thumbnail - 정지웅 서울시의원 “북아현 3구역의 원활한 추진 위해 건축심의부터 다시 받아야”

오달란 기자 dallan@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