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만찬서 고성 주고받은 경기고 동문

연합뉴스
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와 손학규 바른미래당 대표. 2019.11.10
연합뉴스
연합뉴스
고성을 주고받은 당사자는 자유한국당 황교안 대표와 바른미래당 손학규 대표였다. 손 대표는 경기고 61회 졸업생으로 72회인 황 대표보다 무려 11기수 선배지만 이들은 각 당의 첨예한 이해관계가 걸린 연동형 비례대표 선거제 도입 패스트트랙(신속처리안건) 여부를 놓고 얼굴을 붉힌 것으로 알려졌다.
여야 정치권 관계자들의 설명을 종합하면 지난 4월 패스트트랙 통과 당시 그랬던 것처럼 이날 모임에선 황 대표가 1대4로 고립되는 분위기가 형성됐다. 최근 의원 정수 확대까지 주장하고 나선 정의당 심상정 대표가 선거제 개편 이야기를 먼저 꺼내자 문 대통령은 “그동안 선거제 개혁에 가장 적극적인 사람은 바로 나였다”며 “국회가 이 문제를 잘 협의해서 처리하면 좋겠다”고 화답했다.
한국당을 제외한 나머지 4당 대표들이 “실질적으로 한국당이 패스트트랙 협의에 응하지 않았다”며 공세를 가하자 황 대표도 “한국당이 나름의 대안을 갖고 협상을 위해 노력했다”며 반박했다. 한국당은 지난 3월 비례대표제 폐지, 국회의원 정수 10% 감축(270명 정원)을 골자로 한 선거법 개정안을 발의한 바 있다.

청와대 제공
170분간 국정 현안 논의
문재인 대통령과 여야 5당 대표들이 10일 청와대 관저에서 약 170분간 만찬 회동을 갖고 북미 협상과 지소미아 등 외교안보 분야, 선거제 개혁법안, 탄력근로제 연장, 탕평인사 등 국정 현안 전반에 걸쳐 허심탄회한 논의를 했다. 왼쪽부터 시계방향으로 더불어민주당 이해찬 대표, 문 대통령, 자유한국당 황교안 대표, 민주평화당 정동영 대표, 정의당 심상정 대표, 노영민 대통령 비서실장, 바른미래당 손학규 대표.
청와대 제공
청와대 제공
한국당 김도읍 당대표 비서실장은 11일 기자들에게 “황 대표가 어제 화가 났던 건 우리 당이 지난 3월 패스트트랙 법안 지정 전에 의원 정수를 270명으로 축소하는 법안을 발의하지 않았나. 그래서 황 대표가 ‘우리도 선거법에 대한 입장도 있고 법안도 있다’고 하니 손 대표가 ‘그것도 법이라고 내놨냐’고 했다”며 “그래서 황 대표가 그 발언에 대해 손 대표에게 항의의 뜻을 전달한 것”이라고 했다.
반면 손 대표는 기자들에게 “황 대표가 계속 한국당과 합의 없이 일방적으로 진행됐다고 해서 듣고 있다가 인생 선배로서 ‘정치 이렇게 하는 것 아니다. 정권 투쟁하지 말고 나라 생각해 달라’고 말한 것”이라며 “한마디로 꾸짖은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황 대표가 ‘아니 우리가 안을 냈는데’라는 얘기를 해서 내가 ‘그게 안인가. 선거제를 단순히 거부하려는 안이 안인가’라고 말했다”고 했다.

김도읍 의원실 제공
강기정 정무수석에게 민부론 전달한 김도읍 의원
자유한국당 김도읍 의원(왼쪽)이 11일 서울 청와대 앞에서 강기정 청와대 정무수석에게 민부론, 민평론 책자를 전달한 후 대화를 나누고 있다. 2019.11.11
김도읍 의원실 제공
김도읍 의원실 제공
이근홍 기자 lkh2011@seoul.co.kr
강윤혁 기자 yes@seoul.co.kr
2019-11-12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