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장환 기자 5zzang@seoul.co.kr
더불어민주당 박성민 최고위원이 지난 12일 국회에서 서울신문과 인터뷰를 하고 있다.
오장환 기자 5zzang@seoul.co.kr
오장환 기자 5zzang@seoul.co.kr
더불어민주당 이낙연 대표가 ‘청년·여성’의 시각을 기대하며 지명한 박성민(24) 최고위원은 지난 12일 국회에서 진행된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제가 청년으로 지도부에 있기 때문에 전할 수 있는 분명한 목소리가 있다”며 이렇게 말했다.
박 최고위원은 그동안 청년 문제가 심각하다는 것을 모두 인지하면서도 우선순위에서는 밀리는 느낌을 받았다고 했다. 그는 “왜 그럴까 생각해 봤는데, 당사자들의 목소리가 간접적으로만 전달되기 때문인 것 같다”고 했다.
실제 박 최고위원은 지난달 한 라디오 인터뷰에서 “청년들이 부동산에 절박하다”는 목소리를 낸 적 있다.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의 `30대 부동산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 돈을 마련했다는 뜻)’ 발언 직후에 나온 목소리였다. 그는 “장관 개인에 대한 비판이나 날카로운 이야기는 아니었지만 많이 회자되는 걸 보면서 평범한 청년들의 마음을 짚어주는 목소리가 필요하다고 생각했다”며 당시를 떠올렸다.
박 최고위원은 청년들이 당의 주요한 직책을 맡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는 대학을 다니는 청년이지만, 대학을 다니지 않는 청년, 플랫폼 노동자로 일하는 청년 등 청년의 삶은 다양하잖아요. 다른 세대는 다양한 삶을 반영하는 국회에 골고루 진입해 있지만, 청년층은 아직 미미해요.”
민주당 청년 태스크포스 단장을 맡은 박 최고위원은 “소통에 방점을 두고 정례 간담회와 찾아가는 현장간담회를 생각 중”이라고 말했다. 그는 부동산 문제와 코로나19로 인해 결혼식을 하기도 어려워진 예비 부부, 사각지대에 놓인 보호종료 아동 등을 만나보고 싶다고 했다.
기민도 기자 key5088@seoul.co.kr
2020-10-14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