떠나는 윤석열 검찰총장 4일 이날 사의를 표명한 윤석열 검찰총장이 청사를 떠나고 있다. 2021. 3. 4 정연호 기자 tpgod@seoul.co.kr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떠나는 윤석열 검찰총장
4일 이날 사의를 표명한 윤석열 검찰총장이 청사를 떠나고 있다. 2021. 3. 4 정연호 기자 tpgod@seoul.co.kr
4월 서울시장 보궐선거에 나선 후보들이 윤석열 전 검찰총장과의 교감과 연대 가능성을 시사하는 발언을 연일 내놓고 있다. 사퇴 이후 각종 여론조사에서 1위를 달리며 차기 대권주자로서의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는 윤 전 총장을 두고 정치권의 움직임 역시 바빠지고 있다. 특히 당장 한 달도 남지 않은 4월 보궐선거 승리를 거머쥐기 위해 야권 후보들은 저마다 윤 전 총장과의 인연을 강조하고 있다.
오세훈·안철수 후보의 잇단 ‘러브콜’국민의힘 오세훈 서울시장 후보는 12일 KBS 라디오에 출연해 “(윤 전 총장과) 간접적인 형태로 모종의 소통 창구가 마련돼 ‘소통이 시작됐다’는 점까지는 확인해 드릴 수 있다”고 말했다. ‘(윤 전 총장이) 제3지대에서 세력화 도모할 것이다,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와의 연대 가능성이 있다’는 일각의 추측에 대한 답변이었다. 오 후보 역시 윤 전 총장과의 인연을 강조하며 안 후보 측만 윤 전 총장과 소통하고 있는 것이 아님을 강조한 셈이다.
서울시장 후보로 나선 오세훈 vs 안철수 서울신문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서울시장 후보로 나선 오세훈 vs 안철수
서울신문
안 후보 측도 적극적이다. 국민의당 핵심 관계자는 서울신문과의 통화에서 “공정과 정의라는 가치가 무너지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는 윤 전 총장과 지향하는 가치에 있어 공통점이 있고, 소통을 계속해야 할 필요성이 있는 만큼 앞으로도 소통은 계속할 것”이라면서 “오 후보의 선거를 위한 소통과는 조금 결이 다르다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윤 전 총장의 사퇴가 정치권에 미친 파장에 대해서는 “(문재인 정권에서의) 공정과 정의, 법치주의 파괴 등에 대해 그간 야권이 유권자에게 설명을 해야 했다면 윤 총장은 그 자체로 보여줬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도 했다.
등장만으로 보궐선거 ‘정권 심판론’ 띄운 윤석열실제로 윤 전 총장의 등장만으로 일단 야권에는 ‘호재’란 분석이 많다. 최근 불거지고 있는 LH 직원들의 땅 투기 의혹과 더불어 ‘정권 심판론’을 제대로 띄웠다는 평가다. 한 달도 남지 않은 보궐선거에 큰 변수인 셈이다.
여권 원로인 유인태 전 국회총장도 CBS 라디오에서 “제일 큰 악재는 대선 후보 5%짜리밖에 없었던 야권에 30% 넘는 후보가 나타났다는 것”이라면서 “이게 저쪽을 굉장히 결집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서울시장도 뽑아서 (야권 대선주자에) 힘을 연결해줘야겠구나 이런 생각을 하는 것”이라면서 “희망이 생겼으니 굉장히 결집을 할 거다. (야권 지지자들, 중도층 등이) 투표장에 많이 나가지 않겠나 싶다”고 덧붙였다.
게다가 각종 여론조사에서 차기 대권주자로서 윤 전 총장의 존재감이 점점 커지는 만큼 오 후보와 안 후보 모두 ‘윤 전 총장 지지층 끌어오기’에 힘쓸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이미지 확대
윤석열 전 검찰총장이 7일 부인 김건희씨가 운영하는 전시기획사 서울 서초구 코바나컨텐츠를 나와 집으로 향하고 있다. 뉴스1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윤석열 전 검찰총장이 7일 부인 김건희씨가 운영하는 전시기획사 서울 서초구 코바나컨텐츠를 나와 집으로 향하고 있다. 뉴스1
다만 윤 전 총장이 야권 후보들의 ‘러브콜’에 힘입어 조만간 정치적 입장 등을 표명할 가능성은 낮다는 전망이 나온다. 신율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야권 후보 단일화도 되지 않은 상태에서 특정 후보를 지지하는 건 윤 전 총장 스스로 정치적 입지를 줄이는 일인 만큼 가까운 시일 내 정치적 입장을 표명할 가능성은 낮다”고 내다봤다.
유창선 시사평론가 역시 “윤 전 총장의 지지율이 높은 상황에서 각 후보들도 그 지지층을 끌어오기 위해 노력하고는 있지만 (윤 전 총장이) 당장 특정 후보를 지원하기보다는 조심스러운 행보를 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면서도 “다만 막판에는 우회적으로 지원 의사를 표명하며 보궐선거에 영향을 미치고, 자연스레 본인의 정치적 영향력을 높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분석했다.
앞서 윤 전 총장 측은 “현재로서는 3~4월 중 특별한 외부 활동 계획이 없다”는 입장을 언론에 밝힌 바 있다.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