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리 허’와 장세동…5공 실세들의 현재는

‘쓰리 허’와 장세동…5공 실세들의 현재는

이범수 기자
이범수 기자
입력 2021-11-23 13:54
수정 2021-11-23 15:4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제11·12대 대통령을 지낸 전두환 전 대통령이 23일 사망했다. 사진은 1979년 11월 6일 전두환 당시 계엄사 합동 수사 본부장이 박정희 전 대통령 사망사건 관련 발표를 하고 있는 모습. 2021.11.23. 연합뉴스
제11·12대 대통령을 지낸 전두환 전 대통령이 23일 사망했다. 사진은 1979년 11월 6일 전두환 당시 계엄사 합동 수사 본부장이 박정희 전 대통령 사망사건 관련 발표를 하고 있는 모습. 2021.11.23. 연합뉴스
23일 전두환 전 대통령이 사망하면서 5공 실세들의 현재 상황에도 관심이 쏠린다.

허화평, 허삼수, 허문도 씨 등 ‘쓰리(3) 허’ 등이 그 대상이다.

허화평 씨는 ‘5공 설계자’로 불렸다.

허 씨는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한 뒤 신군부 내 사조직인 하나회에 속했다. 그는 보안사령관 비서실장으로 12·12 군사반란 획책에 가담했다.

허씨는 전씨가 대통령으로 취임한 후 청와대 정무1수석비서관으로 일하며 최측근 거리에서 전씨를 보좌했다.

그러나 1982년 ‘장영자·이철희 금융사기 사건’ 당시 전씨의 친인척 공직 사퇴를 건의하면서 전씨와 멀어졌다. 그해 말 청와대를 떠났다.

허씨는 노태우 정권 출범과 함께 국내 복귀한 뒤로 1992년 14대 총선에서 무소속으로 출마해 당선되며 정치 행보를 이어갔다.

고(故) 김영삼 전 대통령 지지를 선언하며 민주자유당에 입당했지만, 김 전 대통령이 12·12 군사반란 관련자에 대한 사법 처리를 추진하면서 구속됐다.

15대 총선에서 ‘옥중 당선’됐지만 결국 유죄 판결을 받아 의원직을 상실했고, 16·17대 총선에서 연달아 낙선하며 정치권과 멀어졌다.
과거 1996년 3월 18일 서울지법 417호 대법정에서 열린 12.12 군사 반란 및 5.18 광주 민주화 운동 관련 2차 공판에 나온 13명의 피고인들. 전두환 노태우 유학성(앞줄 오른쪽부터),황영시 차규헌 박준병(가운데 줄 오른쪽부터),최세창 장세동 허화평 허삼수 이학봉 박종규 신윤희(뒷줄 오른쪽부터). 서울신문 DB 자료사진
과거 1996년 3월 18일 서울지법 417호 대법정에서 열린 12.12 군사 반란 및 5.18 광주 민주화 운동 관련 2차 공판에 나온 13명의 피고인들. 전두환 노태우 유학성(앞줄 오른쪽부터),황영시 차규헌 박준병(가운데 줄 오른쪽부터),최세창 장세동 허화평 허삼수 이학봉 박종규 신윤희(뒷줄 오른쪽부터). 서울신문 DB 자료사진
허씨는 지난달 26일 고(故) 노태우 전 대통령이 별세하자 유족 측 장례위원을 맡기도 했다.

그는 노태우 전 대통령 빈소에서 취재진과 만나 ‘노 전 대통령이 5·18 유족에 사과한 것을 어떻게 평가하느냐’는 질문에 “그 부분은 여기서 이야기하고 싶지 않다”고 말을 아꼈다.

‘5·18 사격 지시’와 관련된 질문에는 “그건 저한테 물어보지 말라. 대답하고 싶지 않다. 그때 비서실장을 했기 때문에 아무 관계가 없다”고 말했다.

허삼수 씨는 육사 동기인 허화평 씨와 함께 하나회에 가입한 ‘단짝’이자 12·12군사반란 당시 보안사령부 인사처장이었다.

당시 대령이던 허 씨는 12·12군사반란 직후 80여 명의 수사본부 병력과 함께 정승화 당시 육군참모총장을 연행한 인물이기도 하다.

전씨 집권 이후 허 씨는 청와대 사정수석비서관에 임명돼 실권을 휘두르며 실세로 자리매김했으나 허씨와 함께 눈 밖에 난 뒤 1982년 미국으로 건너갔다.

국내로 복귀한 허씨는 1988년 13대 총선에서 민주정의당 후보로 출마해 당시 통일민주당 노무현 후보와 부산 동구에서 맞붙었다. 결과는 허씨의 패배였다.

설욕을 노리던 허씨는 이후 14대 총선에서 민주자유당 후보로 출마, 노무현 후보와 재대결을 펼친 끝에 당선됐다. 15대 총선에서는 무소속으로 출마했지만 낙선 뒤 구속됐다. 이후 더는 정치판에 뛰어들지 않았다.

허씨는 이후 대외적으로 모습을 드러내지 않고 있다. 노태우 전 대통령 별세 당시에 유족 측 장례위원에 포함됐지만, 그의 모습은 포착되지 않았다.

기자 출신인 허문도 씨는 1980년 신군부로부터 발탁돼 중앙정보부 비서실장, 문화공보부 차관, 청와대 정무비서관, 국토통일원 장관 등 요직을 지냈다.

언론 통폐합을 주도했고, 청와대 정무비서관이던 1981년 5·18민주화운동 1주년 분위기를 무마하기 위해 이른바 ‘국풍 81’을 일으키기도 했다.
이미지 확대
허문도 전 국토통일원 장관 빈소 조문. 연합뉴스
허문도 전 국토통일원 장관 빈소 조문. 연합뉴스 5일 허문도 전 국토통일원 장관의 빈소가 마련된 경기도 성남시 분당서울대병원 장례식장을 찾은 조문객이 조문하고 있다. 2016.3.5 연합뉴스
허삼수·허화평 씨와 달리 전두환 정권에서 끝까지 남았던 허문도 씨는 1989년 5공 비리 관련 국회 청문회에서 언론 통폐합은 잘한 일이라는 입장을 고수했다.

1996년 14대 총선에서 낙선했고, 1998년 경남지사 선거에서도 패배했다. 16대 총선을 앞두고 자민련 공천을 받았지만, 공천장을 스스로 반납하고 불출마했다.

허문도 씨는 2016년 76세로 별세했다.

‘쓰리 허’ 외에 실세로는 ‘5공 2인자’로 불렸던 장세동 전 안기부장이 있다.

장 씨는 수도경비사령부 30경비단장으로 12·12군사반란에 가담했으며 대통령 경호실장과 국가안전기획부장 등을 지내며 ‘전두환 후계자’로까지 거론된 인물이다.

1987년 박종철 열사 고문치사 사건으로 안기부장에서 물러났다.

노태우 정권 시절에는 5공 청문회에 출석해 전씨와 관련해 끝까지 입을 닫았다. 이후 5공 비리에 연루된 혐의 등으로 수 차례 옥살이를 했다.
‘5공 청문회’처럼…
‘5공 청문회’처럼… 6일 국회에서 열린 ‘최순실 국정농단 게이트’ 진상 규명을 위한 국정조사 청문회는 1988년 6명의 대기업 회장들이 참석한 국회 5공화국 특위의 일해재단 청문회를 연상케 한다. 이날은 9개 그룹 총수들이 참석했다. 사진은 1988년 12월 14일 청문회에 참석해 증인 선서를 하는 정주영(왼쪽부터) 현대그룹 명예회장, 장세동 전 국가안전기획부장, 양정모 전 국제그룹 회장의 모습.
서울신문 DB
2002년 16대 대선에서 무소속으로 출마했으나 대선을 하루 앞두고 사퇴했다. 2004년 17대 총선에서 무소속 출마했으나 3위로 낙선해 정치 무대에 서지 못했다.

장씨는 이후 전씨의 연희동 자택을 꾸준히 찾으며 끈끈한 관계를 유지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최근에는 전씨와 별다른 접촉이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장씨는 특별한 직함이나 대외활동 없이 지내고 있다.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투표
트럼프 당선...한국에는 득 혹은 실 ?
미국 대선에서 여론조사 결과를 뒤엎고 트럼프 전 대통령이 당선 됐습니다. 트럼프의 당선이 한국에게 득이 될 것인지 실이 될 것인지에 대해 말들이 많은데요.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득이 많다
실이 많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