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토] 장동혁, 광주 5·18묘지 참배 무산

[포토] 장동혁, 광주 5·18묘지 참배 무산

입력 2025-11-06 14:49
수정 2025-11-06 16:2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국민의힘 장동혁 대표가 6일 광주광역시 북구에 위치한 국립 5·18민주묘지를 찾았지만, 지역 시민단체의 거센 반발에 제대로 참배하지 못한 채 발길을 돌렸다.

장 대표는 이날 “민주주의를 위해 스러져간 5월 영령들 앞에 고개 숙이겠다”며 취임 후 처음으로 호남을 방문했지만, 차가운 호남 민심만 확인한 셈이 됐다.

장 대표와 양향자 최고위원, 정희용 사무총장, 김도읍 정책위의장 등 지도부가 이날 오후 묘지에 도착하자 광주 시민사회단체 관계자들이 장 대표 등을 둘러싸고 출입을 막았다.

이들은 “장동혁은 물러나라”, “내란 정당 해산하라”를 외치며 장 대표 출입을 거세게 저지했고, 장 대표는 입구에서 방명록도 적지 못한 채 경찰 호위를 받으며 5·18민중항쟁추모탑으로 걸음을 옮겼다.

일부 단체 관계자는 장 대표의 옷을 잡아당기며 참배를 막았고, 경찰과 단체 관계자, 당직자들이 뒤엉키며 현장은 아수라장이 됐다.

거센 저항에 이동이 어려워지자 결국 장 대표 등 국민의힘 지도부는 추모탑 정면이 아닌 멀리 떨어진 곳에서 추모탑을 향해 30초가량 묵념했다. 헌화 및 분향은 하지 못했다.

묵념을 마친 장 대표 등이 버스를 타기 위해 돌아가는 길에도 시민단체 관계자들의 항의와 고성이 쏟아졌다.

“뭐가 당당하다고 광주 옵니까”, “꺼져라” 등의 고성과 욕설이 터져 나왔다.

장 대표 등 지도부는 묘지 도착 19분 만에 버스를 타고 떠났다.

앞서 광주 81개 시민사회단체는 성명을 내고 “5·18을 폄훼하고 내란을 옹호한 장동혁 대표는 사죄해야 한다”며 장 대표의 광주 방문을 비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