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론은 안으로?
통합진보당과 야권연대까지 한 민주통합당이 총선에서 원내1당 등극에 실패하고 새누리당이 총선에서 과반 의석을 획득하면서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의 향후 행보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특히 대권주자인 문재인 상임고문이 진두지휘한 부산·경남(PK) 선거에서 문 고문 및 조경태 의원과 민홍철 당선자를 제외한 나머지 주자들이 모두 전멸하면서 문 고문의 파괴력이 일정부분 한계를 드러내자 민주당 내 시선이 다시 안철수 카드로 쏠리는 분위기다. 그동안 정치에 대해 모호한 입장을 취해 왔던 안 원장은 최근 대학 특강 등을 통해 대권 도전 가능성을 시사하는 등 보다 적극적인 행보에 나서면서 존재감을 강화해 나가고 있다. 선거를 코앞에 둔 지난 9일에는 유튜브에 민주당의 상징색인 노란색 ‘앵그리버드’(모바일 게임 캐릭터) 인형을 들고 나타나 투표를 독려하는 영상을 남기기도 했다. 최대 승부처였던 부산 선거에 대해서도 “부산 시민들은 현명한 분들이니까 이번에 좋은 분들을 선택하리라고 믿는다.”고 밝혔다.
민주당은 안 원장의 궤적을 감안할 때 그가 대선에 나선다면 야권 후보로 나올 것이라고 확신하고 있다. 안 원장은 투표일인 11일 오전 서울 용산동 한강초등학교에서 투표하는 모습을 공개하고 투표 독려 메시지를 던진 뒤 개표 방송을 청취하며 자택에 머물렀던 것으로 알려졌다. 안 원장 측 관계자는 “안 원장이 투표일 이후 계속 서울대 연구실 등에 머물고 있다.”며 “이후 특강 일정 등이 따로 잡힌 것은 없다.”고 그의 행보에 대한 지나친 해석을 경계했다.
전문가들은 안 원장이 대권에 나설 경우 일단 이전의 영향력을 다시 회복하는 데 초점을 맞춰야 할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스스로 투표를 촉구했음에도 불구하고 가시적 성과가 없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강연정치’이외에도 정치 및 사회 현안에 대해 메시지를 던질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해 나갈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메시지의 내용도 더 직접적이고 구체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신율 명지대 교수는 “안 교수가 야당 지지 발언도 했지만 총선 결과가 이렇게 나온 것은 그의 영향력이 그만큼 줄었다는 것을 방증한다.”며 “각종 사안에 대한 본인의 확실한 입장을 밝혀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이현정기자 hjlee@seoul.co.kr
2012-04-13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