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홍용표, 외통위서 북한 노동당 대회 동향 보고
홍용표 통일부 장관이 10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외교통일위원회 간담회에 출석해 북한의 제7차 노동당대회 동향 및 대응방안에 대해 보고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홍용표 통일부 장관은 10일 폐막한 북한 노동당 제7차 대회 이후 남북 대화 가능성에 대해 “지금은 대화할 때가 아니고 제재라는 수단이 더욱 필요하다”고 밝혔다.
홍 장관은 이날 오후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긴급 현안 간담회에서 남북 대화의 필요성을 묻는 정병국 새누리당 의원의 질문에 “이번 당 대회에서도 드러난 것처럼 대화를 했을 때 평화로 갈 수 있는 대화를 할 수 있겠느냐는 생각이 든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홍 장관은 그러면서 “대화하는 동안 자칫 대북 제재는 이상해 질 수 있고 북한은 시간을 벌어 핵 능력만 고도화할 위험이 있다”면서 “어려운 국면이지만 엄중한 상황을 풀기 위해 강력한 제재라는 수단을 효율적으로 쓸 때”라고 설명했다.
이어 홍 장관은 북미 평화협정 체결 가능성에 대해서는 “그것은 사실과 다르다”고 전제한 뒤 “미국 인사들이 평화협정에 대해 얘기하는 것은 전혀 없다”고 부인했다.
또 “북한은 평화협정을 계속 얘기했고, 이번 당대회에서 주한미군 철수 등의 주장을 보면 평화협정을 왜 얘기하는지 그 속내가 무엇인지 드러났다고 본다”고 부연했다.
이에 대해 나경원 외통위원장은 “평화협정은 작년부터 워싱턴발로 나오는데 없다고 부인할 게 아니라 주목하고 상상력을 갖고 접근해야 한다”면서 “그렇지 않으면 어느새 우리가 남북관계에 주도권을 갖지 못함은 물론 소외될 수 있다”고 우려를 나타냈다.
앞서 홍 장관은 현황 보고에서 “당대회에서는 1980년대 6차 당대회를 답습한 수준으로서 기존의 사상 강화 및 경제 발전 노선을 반복했다”면서 “김정은 정권이 새로운 전략 없이 선대(先代)의 유훈에 의존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북한이 군사회담의 필요성을 언급한 데 대해서는 “남북관계 악화의 원인을 우리 제도·법률 등의 책임이라고 전가하고, 연방제 통일 주장을 지속하는 등 진정성이 없는 선전 공세”라고 일축했다.
홍 장관은 “세계의 비핵화라는 수용하기 어려운 조건을 내걸면서 핵보유국을 전제로 한 비확산 주장은 결국 비핵화 의지가 없음을 방증하는 것”이라면서 “당 대회 이후 북한의 도발과 위장 평화공세에 철저하게 대비하겠다”고 강조했다.
홍 장관은 또 “북한의 핵·경제 병진 노선에 대해서는 북핵 불용의 원칙을 확고히 견지하겠다”면서 “북한이 남북 대화를 제의해 올 경우 비핵화 우선 입장을 밝히겠다”고 말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